전체기사

2025.11.06 (목)

  • 구름조금동두천 9.0℃
  • 구름조금강릉 10.7℃
  • 구름많음서울 12.6℃
  • 구름조금대전 11.1℃
  • 구름많음대구 13.3℃
  • 구름조금울산 13.6℃
  • 흐림광주 14.8℃
  • 구름많음부산 15.5℃
  • 흐림고창 10.2℃
  • 구름조금제주 17.2℃
  • 구름조금강화 9.5℃
  • 구름조금보은 8.3℃
  • 구름많음금산 8.0℃
  • 구름많음강진군 11.9℃
  • 구름많음경주시 11.0℃
  • 구름많음거제 14.9℃
기상청 제공

문화

[대전] S/S 2013 예물 트렌드

URL복사

2013년 올해 대전결혼예물 트렌드를 보면 시간이 지날수록 선호하는 부분은 바로 심플함과. 일상생활에서 불편함 없이 편하게 착용할 수 있으면서도 그 뒤에는 예물이라는 화려한 개념을 갖추고 있는 디자인을 많이 선호하고 있다. 과하지 않고 보석함 속에 보관해놓지 않을 부담스럽지 않은 디자인과 가격을 선호하는 편이다.

대전예물을 준비를 하는 대부분의 예비 신랑, 신부들이 생각하는 다이아몬드 세트의 개념은 모두 다이아몬드를 넣어 더욱 화려하고 다이아몬드를 촘촘하게 넣어 남들의 시선을 이목 시키는 디자인 이였다면, 최근 대전예물 트렌드는 일상에서도 착용할 수 있는 심플함과 신부의 아름다움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게 도와주는, 그 순간의 화려함이 아닌 결혼의 그 순간과 평소에도 신부를 화려하게 만들어 줄 수 있는 다이아몬드세트가 사랑받고 있으며, 예전의 크고 화려하기만 했던 예물 트렌드를 이제는 자신들의 취향과 개성에 맞게 선택하는 방법이 좋다.

한 디자인의 세트를 틀에 갇혀있지 않은 여러 스타일로 연출이 가능한 시스템 쥬얼리 또한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S/S 2013 명품 트렌드 쥬얼리를 미리 알아보자

예를 들어 대전결혼예물 트렌드인 커플링과 패션세트를 놓고 비교하자면 올 봄 로맨틱과 러블리한 느낌의 핑크골드와 옐로우 골드를 매치한 투톤 컬러 쥬얼리들이 많은 인기를 얻을 것이라 예상되고 있다.

핑크골드 같은 경우 남성분들은 조금 부담스러워 할 수도 있는 컬러감이지만 손에 착용하는 동시에 손을 생기 있어 보이게 하며 보면 볼수록 기분이 좋아져 입가에 절로 미소를 짓게 하는 특별한 컬러감이다. 이번시즌의 명품잡지들을 보면 이러한 핑크골드를 넣어 디자인한 쥬얼리들을 많이 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만큼 예전의 다소 부담스러울 수 있는 화려함과 무게감을 버리고 럭셔리하며 진부하지 않은 모던한 느낌을 받는 컬러감과 디자인이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므로 평생 한번 있는 예물을 누구보다도 특별한 선택을 해보는 것도 좋을 것 이라고 생각한다.

예물은 처음 구매 할 때도 신중히 결정하지만 사후관리도 중요한 부분이다. 그래서 사후관리를 믿고 맡길 수 있는 신뢰 가는 업체를 알아보고 선택하는 것이 예물결정의 한 가지 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평생의 한번 있는 웨딩 촬영을 더욱 특별하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웨딩촬영업체에서도 쉽게 빌릴 수 있는 티아라를 대전청주전주예물샵 에스캐럿을 찾아가면 국내 미스코리아 선발 대회 때 씌여진 진, 선, 미 티아라가 있어 많은 예비부부들의 평범한 디자인 보다 더 더욱 신부를 특별하게 해주는 티아라를 협찬 받을 수 있다.

끝으로 대전청주전주 결혼예물전문 에스캐럿 염창엽 대표는 대부분 사람들은 금으로 재테크를 한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데 요즘 젊은 예비부부들은 예물에서 빠질 수 없는 다이아몬드로 재테크를 할 정도로 많은 예비 신랑, 신부들의 관심사가 다이아몬드로 집중되고 있다.

미리 예산을 정한 후 구입하는 것이 좋으며 크기와 품질, 디자인에 따라 가격에 큰 차이가 있어 예물 구입 시 믿을 수 있고, 다양한 디자인이 많이 구비되어 있는 예물 전문점을 방문해 꼼꼼한 상담을 통해 준비한 예산 안에서 가격이 합리적인지 비교하는 것이 좋다고 전하였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윤상현 의원, 흉기 이용 스토킹범죄는 벌금 삭제하고 최고 5년 징역 법률안 대표발의
[시사뉴스 이광효 기자] 흉기 이용 스토킹범죄는 벌금형을 삭제하고 최고 5년 징역형에 처하게 히는 법률안이 발의됐다.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인천 동구미추홀구을,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5선, 사진)은 5일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현행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정의)는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스토킹행위’란 상대방의 의사에 반(反)하여 정당한 이유 없이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여 상대방에게 불안감 또는 공포심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가. 상대방 또는 그의 동거인, 가족(이하 ‘상대방등’이라 한다)에게 접근하거나 따라다니거나 진로를 막아서는 행위. 나. 상대방등의 주거, 직장, 학교, 그 밖에 일상적으로 생활하는 장소(이하 '주거등'이라 한다) 또는 그 부근에서 기다리거나 지켜보는 행위. 2. ‘스토킹범죄’란 지속적 또는 반복적으로 스토킹행위를 하는 것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제18조(스토킹범죄)제2항은 ”흉기 또는 그 밖의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거나 이용하여 스토킹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