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전기ㆍ전자ㆍ통신ㆍ중화학

에이수스, GTC 2025에서 NVIDIA® GB300 NVL72 기반의 최신 AI POD 공개

URL복사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IT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에이수스 코리아(강인석 지사장, 이하 에이수스)는 GTC 2025를 통해 NVIDIA® GB300 NVL72 기반의 최신 에이수스 AI POD를 공개했다.

 

에이수스는 AI 혁신의 최전선에서 최신 AI/GPU 서버를 선보여왔다. GTC 2025를 통해 NVIDIA HGX B300 NVL16이 탑재된 XA NB3I-E12, NVIDIA DGX B200 8-GPU가 탑재된 ESC NB8-E11, NVIDIA HGX H200이 탑재된 ESC N8-E11V, MGX 아키텍처가 탑재된 ESC8000A-E13P/ESC8000-E12P 등 산업 전반에 걸쳐 AI 도입을 촉진하는데 중점을 두고, 포괄적인 인프라 솔루션을 제공하여 구축에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전시된 모든 서버는 NVIDIA 인증 서버로 안정성, 성능 뿐만 아니라 호환성에 대해 객관적인 지표를 제공한다.

 

NVIDIA GB300 NVL72 플랫폼을 통합한 에이수스 AI POD는 뛰어난 처리 성능으로 기업이 요구하는 AI 연산을 쉽게 해결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NVIDIA Blackwell Ultra로 구축된 GB300 NVL72는 최적화된 컴퓨팅, 증가한 메모리, 고성능 네트워킹으로 AI의 새로운 시대를 선도하며 획기적인 성능을 보여준다.

 

72개의 NVIDIA Blackwell Ultra GPU와 36개의 Grace CPU가 장착되어 AI FLOP가 증가하고 랙당 최대 40TB의 고속 메모리를 지원한다. NVIDIA Quantium-X800 InfiniBand 및 Spectrum-X Ethernet, SXM7 및 SOCAMM 모듈, 100% 액체 냉각 설계 또한 적용되어 AI 인프라 구축에 안정적이고 확장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에이수스 RS501A-E12-RS12U는 극한의 효율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NVIDIA GB200 NVL72을 통해 하드웨어에서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활용 범위를 제공하며, 아키텍처 설계, 차세대 냉각 솔루션, 랙 설치, AI를 위한 대규모 데이터 처리 및 배포에 있어 향상된 범용성으로 기업이 AI 인프라를 구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킨다.

 

최신 NVIDIA RTX PRO 6000 Blackwell Server Edition GPU가 내장된 ASUS ESC8000 시리즈 중 ESC8000-E12P는 8개의 듀얼 슬롯 하이엔드 NVIDIA H200 GPU를 위한 고밀도 4U 서버로 NVIDIA MGX 아키텍처와의 완벽한 호환으로 유연한 확장성과 빠른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ESC8000A-E13P, 4U NVIDIA MGX 서버로NVIDIA AI Enterprise 및 Omniverse 지원을 위한 8개의 듀얼 슬롯 NVIDIA H200 GPU 구성으로 최신 데이터 센터와 IT 환경에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한다.

 

또한 작은 사이즈로 사무실 책상에서 운용 가능한 에이수스 Ascent GX10은 NVIDIA GB10 Grace Blackwell Superchip으로 구동되는 컴팩트한 AI 슈퍼 컴퓨터로 1,000 AI TOPS 성능을 가지고 있어, 까다로운 워크로드에 이상적이다. 20코어 Arm CPU, 128GB 메모리를 탑재하여 최대 2,000억 개의 매개변수를 가진 AI 모델을 지원하며 페타플롭 규모의 AI 슈퍼 컴퓨터의 강력한 기능과 성능으로 개발자, AI 연구자 및 데이터 과학자 및 연구자의 사무실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다.

 

이 밖에 GTC 2025을 통해 생성형 AI, 시각 언어 모델(VLM) 및 대규모 언어 모델(LLM)에 적합한 NVIDIA Jetson AGX Orin 시스템 온 모듈과 NVIDIA JetPack SDK로 구동되는 IoT PE2100N 엣지 AI 컴퓨터를 선보였다. 영상 기반의 객체 감지 및 자연어 상호작용, 4G/5G 대역 지원, 낮은 소비전력으로 스마트 시티, 로봇 공학에 및 차량 내 솔루션에 적합하다.

 

자체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AIDC(ASUS Infrastructure Deployment Center)와 더불어 IT 원격 모니터링 관리를 위한 ACC(ASUS Control Center)로 고객이 원활하게 AI 및 HPC 솔루션을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비용 및 유지관리, 전력 사용 효율성에 있어 최적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에이수스는 이번 GTC 2025를 통해 고성능 컴퓨팅 및 AI 환경에 다양한 기업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성능, 안정성 및 확장성 기반의 혁신적인 AI 인프라 솔루션을 대거 선보였다. 에이수스는 업계를 선도하는 전문 지식을 활용하여 혁신과 지속 가능성을 위한 AI 인프라 수요의 확장성을 해결하는데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관련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