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사회

평택대학교 패션디자인및브랜딩학과 오사카문화복장학원과 업무협약(MOU)체결

URL복사

 

[시사뉴스 서태호 기자] 평택대학교(이동현 총장)와 오사카문화복장학원(모리지로 회장)이 지난 2월 10일(금) 교육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오사카문화복장학원은 1946년 설립된 일본을 대표하는 명문 패션학교로 이탈리아 피렌체의 Polimoda(페라가모 패션학교)와 업무협약을 맺고 있으며, 그 외에도 영국, 미국의 패션 대학과 의 교류를 통해 세계적인 디자이너를 배출하고 있다.

 

패션디자인, 패션비지니스, 스타일트학과 등 7개 전공에서 현재 1500여명의 패션전공학생을 교육하고 있다. 이번 한국 대학과는 처음으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으며 평택대학교 패션디자인및브랜딩학과와 향후 글로벌 패션을 리드할 수 있는 인재양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교육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2022년 9월 평택대학교를 방문한 지로모리 회장은 “지난 방문으로 한일 학생간 교류프로그램에 대한 의견교류를 통해 이렇게 업무협약을 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 특히 평택대학교의 기독교 교육이념에 많은 감동을 받았으며 금번 교육협약을 통해 인재양성과 한일학생간 문화 교류, 교육협력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크다” 라고 소감을 밝혔다.

 

이동현 총장은 “지난번 방문해주신 모리회장님과 만남을 통해 양교간 업무협약으로 발전되어 매우 기쁘다. 앞으로 우리 대학과 다양한 문화, 교육 프로그램 교류를 통해 양교간 더욱 시너지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계기가 되길 희망한다.”고 축사를 전했다.

 

박혜숙 학과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위해 오사카문화복장학원을 방문하였으며 “초대해주신 오사카문화복장학원(OIF) 모리 대표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한국과의 업무협약이 최초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여긴다. 특히 글로벌 패션을 이끌어 갈 인재를 양성하고 양교 학생들이 즐겁게 팀워크를 이룰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최선을 다하고자 한다”고 소감을 전하였다.

 

평택대학교 패션디자인및브랜딩학과 박혜숙학과장, 허가영교수와 서울패션허브센터 김신우 센터장은 모리 회장의 초대로 업무협약식과 더불어 2023년도 2월에 졸업하는 200여명의 학생들의 졸업패션쇼와 패션비지니스학과 학생들이 운영한 팝업 스토어를 방문하여 학생들을 독려하였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