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5 (금)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경제

[마감시황] 코스피, 약 2% 상승 마감...2차전지·자동차·반도체주 강세

URL복사

[시사뉴스 김미현 기자] 코스피가 2% 가까이 상승 마감했다. 특히 2차전지, 자동차, 반도체주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16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427.90)보다 47.58포인트(1.96%) 상승한 2475.48에 장을 닫았다. 이날 코스피는 0.67% 상승한 2444.06으로 출발해 상승 폭이 점점 확대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금융투자를 중심으로 기관의 강한 순매수세가 이어진 가운데 외국인도 선물을 중심으로 강한 매수세가 나타난 것이 지수 상승에 영향을 줬다. 기관은 이날 8930억원 순매수했고, 외국인은 249억원 매수 우위로 집계됐다. 반면 개인은 9361억원 순매도했다.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9409계약 순매수했고, 기관과 개인은 5856계약, 3303계약 각각 순매도했다.

 

업계 전문가는 시가총액 대형주 전반이 강세를 보였고, 특히 2차전지, 자동차, 반도체주 강세가 뚜렷해 외국인이 장중 선물을 1조5000억원 가까이 매수하면서 지수 강세를 주도했다고 풀이했다.

업종은 대부분이 상승한 가운데 화학(3.24%)이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다. 이어 운수장비(2.8%), 전기전자(2.65%), 제조업(2.41%), 의료정밀(2.25%) 등도 강세를 기록했다. 반면 통신업(-2.92%)은 나홀로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모두 상승했다. 대장주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1500원(2.41%) 오른 6만3700원에 장을 마쳤고, LG에너지솔루션(4.17%), SK하이닉스(1.31%), 삼성바이오로직스(1.89%), LG화학(6.38%), 삼성SDI(1.1%), 현대차(3.82%), 네이버(2.32%), 기아(5.37%) 등도 강세를 기록했다. 카카오는 0.94% 오르며 강보합세를 기록했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765.46)보다 19.25포인트(2.51%) 오른 784.71에 거래를 종료했다. 전날 보다 0.88% 오른 772.17로 출발해 빠르게 상승 폭을 확대했다.

외국인과 기관이 1669억원, 1308억원 각각 순매수해 지수 상승을 이끌었고, 개인은 3597억원 순매도하며 차익 실현에 나섰다.

시총 상위 종목도 일제히 상승했다. 에코프로가 11.94% 오르며 가장 높은 수익률을 시현했고, 에코프로비엠(4.54%), 셀트리온(2.3%), 엘앤에프(2.09%), 카카오게임즈(4.87%), HLB(2.42%), 에스엠(7.59%), 펄어비스(4.16%), 리노공업(1.98%), 천보(3.01%) 등도 강세를 기록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역사와 정서를 국악으로 풀어낸 창작국악 시리즈 ‘화음 華音’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화성시문화관광재단(대표이사 안필연) 소속 화성시 예술단 국악단은 화성시의 역사와 정서를 국악으로 풀어낸 창작공연 시리즈 ‘화음(華音)’을 오는 8월과 9월 두 차례 무대에 올린다. ‘화음(華音)’은 단순한 음악적 조화를 넘어 화성이라는 지역의 삶과 이야기가 모여 만들어내는 공동체적 울림을 의미한다. 이 공연은 우리가 일상에서 느끼는 기쁨, 슬픔, 사랑 등 다양한 감정을 전통 국악의 언어로 풀어낸 창작 무대로, 화성시 예술단 국악단의 고유한 레퍼토리를 구축하고 지역 문화의 품격을 높이기 위한 기획이다. 김현섭 예술감독은 “화성시 예술단 국악단이 창의적 기획과 깊이 있는 작품을 통해 예술의 선한 영향력을 전하고, 지역 문화를 예술로 승화시키고자 한다”고 전했다. 화음(華音) 시리즈의 첫 번째 공연 ‘화성을 노래하다’는 8월 14일(목) 오후 7시 화성아트홀에서 열린다. 정가, 판소리, 민요 등 전통 성악 중심의 무대로, 화성의 역사와 자연, 정조대왕의 효심이 깃든 융건릉, 팔탄 농요 등 지역 문화유산을 담아낸다. 신예 작곡가 강현승, 김다원, 김성진, 박한규, 송정, 최지운, 홍수미 등이 참여해 젊고 신선한 감각의 음악을 선보일 예정이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