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6.5℃
  • 맑음강릉 14.4℃
  • 맑음서울 9.6℃
  • 맑음대전 10.1℃
  • 맑음대구 10.1℃
  • 구름많음울산 11.7℃
  • 맑음광주 12.8℃
  • 구름많음부산 14.4℃
  • 구름조금고창 8.4℃
  • 흐림제주 16.3℃
  • 맑음강화 6.7℃
  • 맑음보은 7.0℃
  • 맑음금산 7.9℃
  • 구름많음강진군 10.7℃
  • 구름조금경주시 8.7℃
  • 구름많음거제 11.7℃
기상청 제공

시네마돋보기

운명에 맞서는 사랑

URL복사
제 2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던 군인들이 그리스의 외딴 섬에 표류하면서 펼쳐지는 일상을 평화롭고도 아름답게 그려낸 ‘지중해’로 1992년 아카데미 외국어영화상의 영예를 안은 가브리엘 살바토레 감독. 엔딩에 ‘지금 도피하고 있는 모든 이들에게’라는 명대사를 남기며 수많은 영화팬들의 가슴에 따스한 감동을 안겨주었던 그가 신작 ‘애즈 갓 커맨즈’로 또 한 번 국내 관객들을 만난다.
강한 아버지와 연약한 아들
‘크리스티아노’의 하루는 뽀뽀를 해달라고 조르는 ‘리노’의 닭살 돋는 장난으로 시작된다. 여자애들에게 놀림이나 당하는 연약한 크리스티아노에게 절대적인 사랑과 믿음을 주는 건 그의 아버지이자 베스트 프렌드인 리노 뿐이다. 크리스티아노와 장난치며 친구처럼 어울려 즐기기를 좋아하는 리노는 아들이 힘없이 얻어맞고 돌아오는 것, 그리고 정신이 온전치 않은 4차원 친구 ‘콰트로’가 사람들에게 무시당하는 것은 참지 못한다 한편. 리노 부자의 보호를 받는 콰트로는 TV 속 포르노 배우와 사랑을 나누는 등 혼자만의 세계에 빠져 현실과 상상을 혼동하며 산다.
어느 날 크리스티아노의 친구 ‘파비아나’를 본 콰트로는 그녀를 자신이 사랑하는 TV 속 배우로 착각한다. 그리고 얼마 뒤 폭풍우 치던 늦은 밤 혼자 귀가하던 그녀를 발견하고 ‘신께서 내게 보내주신 선물’이라며 들뜬 마음으로 뒤를 쫓다 돌이킬 수 없는 큰 실수를 저지른다. 그날 밤 콰트로의 실수에 리노까지 휘말리게 되고… 파비아나의 시체와 정신을 잃고 쓰러진 리노를 발견한 크리스티아노는 모든 게 그의 소행이란 생각에 불안에 떤다.
셰익스피어 연상시키는 극적 연출
이 영화는 이탈리아 최고권위의 문학상인 ‘스트레가 상’ 수상작인 니콜로 아망띠의 동명 베스트셀러를 원작으로 한 작품이다. 니콜로 아망띠 특유의 탄탄한 구성과 밀도 있는 스토리, 긴박감 넘치는 전개, 매력 넘치는 캐릭터로 구성된 소설에 거장 가브리엘 살바토레 감독의 임팩트 있고 감각적인 연출을 통해 더욱 더 강렬한 메시지와 흡인력을 지닌 영화로 재탄생 됐다.
가브리엘 살바토레 감독은 극적 드라마를 보여주며 인간본연의 감성을 자극하기 위해 셰익스피어를 연상시키는 연출을 선보였다. 셰익스피어의 작품에는 흔히 ‘폭풍우 전’, ‘폭풍우 치는 밤’, ‘폭풍우 후’의 이야기 구성과 세 부류의 인물 ‘왕(아버지)’, ‘왕자(아들)’ 그리고 ‘바보’가 존재한다. 인물들은 첫 번째 막에서 이야기를 시작하고 두 번째 막에서 폭풍우를 맞으며 자신을 잃고 좌절하다 세 번째 막에 이르러 아픔과 상처의 경험을 겪고 마침내 한 ‘인간’으로 재탄생한다. 감독은 아버지 리노, 아들 크리스티아노, 지능이 떨어지는 콰트로를 등장시켜 ‘폭풍우 치는 숲’에서의 강렬한 사건 후 그들을 뒤엉킨 운명의 소용돌이 속으로 이끈다. 하지만 가브리엘 살바토레는 아들을 강하게 키워야 한다고 믿는 아버지 리노와 오히려 아버지를 더 걱정하는 아들 크리스티아노 부자의 뜨거운 사랑과 믿음을 스토리에 녹여내며 비극적 결말이 아닌 감동의 엔딩을 선택한다.
네오리얼리즘의 또 다른 수작
인위적으로 가공됐던 스토리 라인 대신 ‘삶의 단면을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네오리얼리즘의 흐름을 이어가며 ‘네오리얼리즘의 적자(適者)’로 불리는 가브리엘 살바토레 감독은 여전히 자신만의 네오리얼리즘 영화의 방식을 고수하며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감독은 ‘애즈 갓 커맨즈’를 촬영하면서도 배우들에게 조명 및 마이크를 의식하지 않게 배려하면서 연기에 무한한 자유를 제공하고, 인물내면의 시점에 집중해 영화를 제작했다. 카메라를 어깨에 메고 숄더 헬드 기법을 사용해 배우와 함께 움직이며 배우가 움직이는 대로 카메라가 따라가는 방법으로 배우들과 함께 비를 맞거나 진흙탕을 뒹굴며 더욱 더 그들의 내면 속으로 들어갔다.
또한 가브리엘 살바토레 감독은 구성 리스트와 스토리 보드를 과감히 제거해 배우들의 더욱 자연스러운 움직임과 연기를 담아냈다. 그리고 그렇게 처음부터 끝까지 단 한 번의 중단 없이 한 씬으로만 촬영을 이어가는 대신 다양한 시퀀스를 구성해 촬영했고 찍은 시퀀스들은 과감하게 편집하고 연결해 영화를 완성시켰다. 그 결과 주인공들의 섬세한 내면 묘사와 강렬한 시퀀스들이 조화돼 강력한 흡인력을 발산하는 네오리얼리즘의 또 다른 수작이 탄생했다.

프롬파리 위드러브
감독 : 피에르 모렐
배우 : 존 트라볼타, 조나단 리스 마이어스
상상을 초월한 거대 테러리스트와의 지상 최대 전쟁. 미국의 무대뽀 비밀 요원과 프랑스의 섹시허당 대사관 직원이 최강의 파트너로 뭉쳤다. 비밀 특수요원 왁스는 자폭 테러조직으로부터 미국의 1급 정부인사를 보호하라는 중요한 임무를 부여 받고 파리에 도착한다. 하지만 파리 공항의 입국 심사부터 문제를 일으킨 단순무식의 트러블 메이커 왁스. 현지에서 그런 그를 돕기 위해 주 프랑스 미대사관 직원인 제임스가 파트너로 배치된다. 섹시한 외모와 달리 융통성 제로에 성실하게만 살아온 제임스는 뜻하지 않게 왁스의 파란만장한 행보에 합류하게 되고, 사사건건 으르릉거리며 혹독한 미션을 해결해 나간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감독 : 팀 버튼
배우 : 조니 뎁, 앤 해서웨이, 미아 워시코스카, 헬레나 본햄 카터
더 이상 소녀가 아닌 19살의 앨리스가 어쩌다 본의 아니게 또다시 들어간 이상한 나라는 예전에 겪었던 그 이상한 나라가 아니다. 십여년 전 홀연히 앨리스가 사라진 후 이상한 나라는 독재자 붉은 여왕이 그녀 특유의 공포 정치로 통치하고 있었던 것. 물론 하얀 토끼와 트위들디와 트위들덤 쌍둥이, 겨울잠 쥐, 애벌레와 음흉하게 웃어대는 체셔 고양이 그리고 미친 모자장수는 붉은 여왕의 공포 정치 속에서도 정신없는 오후의 티타임을 즐기고 있다. 마치 어제 헤어진 친구를 오늘 다시 만난 듯 앨리스의 귀환을 대환영하는 미친 모자장수와 그 친구들. 손가락만큼 작아져버린 앨리스는 이번에도 무사히 집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중국산 건조 마늘과 양파를 냉동 제품으로 위장 밀반입 한 5명 적발
(사진=인천본부세관 제공)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인천본부세관은 중국산 건조 마늘과 양파를 냉동 제품으로 위장해 밀반입한 5명을 관세법 위반 혐의로 붙잡아 검찰에 송치했다. 인천본부세관은 4일 A(50대)씨 등 5명을 관세법 위반 혐의로 입건해 검찰에 불구속 송치했다. 세관에 따르면 A씨 등은 지난해 1~12월 중국에서 건조된 마늘 173톤과 양파 33톤 등 시가 17억 원 상당의 농산물 총 206톤을 국내로 밀수입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은 건조 농산물에 부과되는 고율 관세를 회피하기 위해 냉동 농산물로 위장하는 방식으로 밀수를 시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현행 건조 마늘과 양파에는 각각 360%, 135%의 관세율이 적용되지만 냉동 농산물로 분류되면 27%로 낮아진다. 이들은 건조 농산물을 실은 컨테이너 적재 칸의 윗부분에는 냉동 농산물 상자를 넣어 현품 검사를 피하려고 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에 적발된 보세창고 보세사는 현품 검사를 할 때 사전에 확인한 냉동 농산물만 샘플로 제시하는 등 범행에 깊숙이 가담한 것으로 드러났다. 인천세관은 냉동 보세창고 외부에만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있어 내부 감시가 어려운 점이 악용된 것으로 보고 앞으로 창고 내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진짜 부동산 대책은 ‘가만 놔두는 것’이다
정부가 또다시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표면적인 이유는 언제나처럼 ‘부동산 시장 안정’과 ‘투기 근절’이다. 하지만 이번 10‧15 부동산 대책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과연 이것이 시장 안정을 위한 것인지, 아니면 그저 시장 자체를 마비시키려는 것인지 의구심을 금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의 핵심 논리는 ‘풍선 효과’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강남 3구 집값이 오르니, 그 불길이 번진 마포·용산·성동구를 잡고, 나아가 서울 전역을 조정대상지역이라는 족쇄로 묶어버렸다. 과천과 분당이 들썩이자, 그와는 무관한 인근 경기도 12개 지역까지 모조리 규제지역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문제의 본질을 완전히 잘못 짚은 ‘연좌제식 규제’이자 ‘과잉 대응’이다. 첫째, 특정 지역의 가격 상승은 그 지역 나름의 복합적인 수요 공급 논리에 따라 발생한다. 강남의 가격 상승 논리와 서울 외곽 지역의 논리는 엄연히 다르다. 단지 행정구역이 ‘서울’ ‘수도권’이라는 이유만으로 모든 지역에 동일한 대출 규제(LTV, DTI), 세금 중과, 청약 제한을 가하는 것은, 빈대 몇 마리를 잡겠다며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다. 둘째, 이러한 전방위적 규제는 ‘현금 부자’가 아닌 평범한 실수요자와 선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