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2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산 중구, 식중독 예방관리 계획 수립·추진

URL복사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 중구(구청장 김영길)가 안전하고 건강한 식생활을 위해 식중독 예방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식품 위생 지도·점검에 나선다.

 

중구는 식중독 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식약처와 울산시, 중구보건소 등 관계기관 비상 연락망을 구축하고, 연 2회 식중독 발생 신속보고 모의 훈련 및 식중독 예방 홍보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 식중독이 발생할 경우 대규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학교 등 집단급식소를 집중 관리업소로 지정해 관리할 방침이다. 계절별 특별 지도·점검도 실시한다.

 

각 학교가 개학하고 나들이객이 늘어나는 봄에는 어린이 기호식품 조리·판매업소와 푸드트럭, 패스트푸드 등 다중이용시설 조리·판매업소를 지도·점검하고, 봄철 농산물을 수거해 잔류농약, 식중독균 등을 검사한다.

 

더운 날씨로 식중독 발생 위험이 높은 여름에는 횟집, 일식집 등 상하기 쉬운 식재료를 주로 취급하는 업소를 대상으로 위생 점검을 실시하고, 가을에는 추석 명절을 맞아 명절 성수 식품 제조·판매업소를 지도·점검할 계획이다.

 

겨울에는 노로바이러스 등에 대비해 겨울철에 많이 소비되는 수산물을 수거해 유해 미생물 검사를 시행하고, 김장철을 맞아 김치 제조·판매업체의 위생 상태를 점검하는 동시에 배추와 젓갈, 고춧가루 등을 수거해 안전성 검사를 진행한다.

 

이와 함께 배달음식에 대한 안전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분기마다 배달음식점 지도·점검을 실시하고, 조리 식품을 수거해 식중독균 검사를 실시할 방침이다.

 

추가로 전통시장 내 식품취급업소에서 사용하는 조리 설비 등의 간이 오염도(ATP) 수치를 측정해, 위생 수준을 객관적으로 확인하고 위생 상태를 개선할 예정이다.

 

중구 관계자는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위생을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건강하고 안전한 식생활을 위해 손 씻기, 음식 익혀먹기, 끓여먹기를 반드시 실천해 주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Jung-gu, Ulsan (Mayor Kim Young-gil) is establishing a food poisoning prevention management plan and conducting food hygiene guidance and inspections for safe and healthy eating.

 

In order to quickly respond to food poisoning incidents, Jung-gu will establish an emergency contact network with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Ulsan City, and Jung-gu Health Center, and conduct mock drills for rapid reporting of food poisoning outbreaks and food poisoning prevention publicity activities twice a year.

 

In addition, it plans to designate and manage collective cafeterias such as schools, which can lead to large-scale damage if food poisoning occurs, as intensive management sites. Special seasonal guidance and inspections will also be conducted.

 

In the spring, when schools open and the number of people going out increases, the Ministry of Food and Agriculture inspects restaurants that prepare and sell children's favorite foods and restaurants that prepare and sell multi-use facilities such as food trucks and fast food, and collects spring produce to test for residual pesticides and food poisoning bacteria.

 

In the summer, when the risk of food poisoning is high due to hot weather, sanitary inspections will be conducted for businesses that mainly handle perishable ingredients, such as sashimi restaurants and Japanese restaurants, and in the fall, for the Chuseok holiday, guidance and inspections will be conducted for businesses that manufacture and sell food for the holiday.

 

In winter, the agency collects seafood products that are often consumed in winter to test for harmful microorganisms in preparation for norovirus, and for the kimchi season, it checks the hygiene conditions of kimchi manufacturers and sellers, while collecting cabbage, salted fish, and chili powder for safety inspections.

 

In addition, to strengthen safety management for delivery food, the government will conduct quarterly maps and inspections of delivery restaurants, and collect cooked food to test for food poisoning bacteria.

 

In addition, the ATP level of cooking equipment used by food service establishments in traditional markets will be measured to objectively check the level of hygiene and improve hygiene conditions.

 

"To prevent food poisoning, it is most important to thoroughly manage personal hygiene," said an official from Jung-gu. "Please be sure to wash your hands, cook your food, and boil your food for a healthy and safe diet."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