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

천하람, 신평 주장 "대통령실, 사실 아니라고 해야"

URL복사

"윤핵관·신평, 尹 한없이 가벼운 사람 만들어"

 

[시사뉴스 김세권 기자]  5일 김기현 후보 측 인사가 '윤석열 대통령의 탈당 후 신당창당'을 언급한 데 대해  천하람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는 "대통령실은  천하람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는신평 변호사의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고 밝히라"고 요구했다. 김기현 후보 측에도 "이 중차대한 문제를 가볍게 보지 말고 즉각 신 변호사를 해촉하라"고 촉구했다.

천 후보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최근 윤핵관이나 멘토를 자처하는 신평 변호사 같은 인물이 윤석열 대통령을 한없이 가벼운 사람으로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제가 윤석열 대통령을 뽑았던 이유는 그의 묵직함, 신중해 보이는 모습 때문이었다"며 "추미애가 공격해도, 조국 수호대가 때려도 흔들리지 않던 바위와도 같은 모습을 기대하고 대통령으로 뽑았던 것이지 윤핵관이나 신평 변호사의 이야기처럼 성정이 거칠고 작은 일 하나하나에 신경질적으로 반응하는 모습을 바랐던 것이 아니다"고 비꼬았다.

이어 "신평 변호사는 사퇴 요구가 이어지자 이해할 수 없는 현학적인 글을 올려 거취를 불분명하게 하고 있다"며 "김기현 후보는 대통령의 탈당 후 신당창당이라는 이 중차대한 문제를 가볍게 보지 마시고 즉각 신평 변호사를 해촉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대통령실을 향해서도 "신평 변호사의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고 명확하게 밝혀달라"고도 요구했다.

그러면서 "대선이 끝난 지 아직 1년이 지나지 않았다. 당원들에게 더 상처를 주지 마시라"고 강조했다.

앞서 김 후보 캠프에서 후원회장을 맡고 있는 신 변호사는 지난 3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만약에 안철수 의원이 당대표가 된다면 어찌될 것인가"라며 "경우에 따라서, 윤 대통령은 국민의힘을 탈당하고 정계개편을 통한 신당 창당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내몰릴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천 후보는 전날 대구 동성로에서 선거 운동을 한 뒤 기자들과 만나 김 후보와 안 후보 양측을 싸잡아 비판했다.

그는 "안철수 후보는 비윤일지 모르겠지만 더이상 개혁적인 후보는 아니다. 주류에 편승하고 싶어하고, 안정지향적 정치인이 다 됐다"고 지적했다.

또 "이런 안철수마저도 포용하지 못한다면 윤핵관은 도대체 누구와 정치를 하려고 하는 것인가. 줄을 서려는 사람들만 데리고 가려는지 묻지 않을 수 없고 비판할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