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0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태화강생태관, 옹기 속 어린연어 키우기 체험 운영

URL복사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시 울주군 태화강생태관이 오는 29일부터 내년 2월까지 어린 연어를 옹기에 담아 키워 태화강에 방류하는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체험은 연어의 발안란(눈이 생긴 어란)을 옹기에 담아 참석자에게 배부한 뒤 약 30~60일 동안 부화·성장 과정을 관찰한다. 이후 어린 연어를 태화강생태관으로 가져와 태화강에 방류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어린 연어는 부화 후 영양주머니(난황)를 가지고 있어 8~13도 정도의 낮은 수온을 유지하고, 주기적인 물갈이만 해주면 먹이를 따로 공급하지 않아도 성장이 가능하다.

 

참여자는 연어의 알이 든 옹기를 베란다 등 낮은 온도가 유지되는 공간에 보관 후 관찰할 수 있다.

 

올해 체험프로그램은 기존 참여자 300여명에서 더 많은 인원이 참여할 수 있도록 대상인원을 690명으로 확대한다. 참여 희망자는 오는 21일부터 27일까지 태화강생태관 홈페이지에서 사전신청하면 된다.

 

태화강생태관 관계자는 “태화강을 대표하는 어린 연어를 담아 직접 키우는 체험프로그램을 통해 울주군의 생태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많은 분들이 참여해 각 가정에서 생명의 소중함과 자연의 생태를 알아가길 바란다”고 밝혔다.

 


The Taehwagang Ecology Center in Ulju-gun, Ulsan, announced on the 18th that it will run an experience program from the 29th to February next year to raise young salmon in pottery and release them to the Taehwagang River.

 

In this experience, salmon's foot eggs (eye-shaped fish eggs) are placed in earthenware, distributed to participants, and the hatching and growth process is observed for about 30 to 60 days. After that, young salmon are brought to the Taehwagang Ecology Center and released into the Taehwagang River.

 

Young salmon have a nutritional bag (or sulfur) after hatching, so they can grow without having to supply food if they maintain a low water temperature of 8 to 13 degrees Celsius and change the water regularly.

 

Participants can observe salmon eggs after storing them in a space where low temperatures are maintained, such as a veranda.

 

This year's experience program will exp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from 300 to 690 so that more people can participate. Those who wish to participate can apply in advance on the Taehwagang Ecology Center website from the 21st to the 27th.

 

An official from the Taehwagang Ecology Center said, "We will provide a valuable opportunity to see the ecology of Ulju-gun at a glance through an experience program that contains young salmon representing the Taehwagang River."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