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2022년 울산동구 대왕암 창업경진대회 참가자 모집

URL복사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시 동구청은 지역 창업문화 및 창업생태계 활성화와 역동적인 더 잘사는 도시 동구 발전을 위해 ‘2022 울산 동구 대왕암 창업경진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대회는 울산 동구청이 주최하고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및 울산 동구 중장년기술창업센터가 주관, 현대중공업에서 후원하는 대회로 울산광역시 동구에서는 처음으로 진행하는 창업경진대회이다.

 

대회 참가자 모집은 오는 11월 23일 오후 6시까지이며, 모집분야는 기술창업분야와 울산 동구 관광활성화 분야 2개 분야로 진행된다. 모집대상은 울산 동구와 관련 있는 자면 개인, 팀, 기업(7년 이내) 등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예선(서면)심사를 통해 각 분야의 6개 팀을 선발하고, 12월 7일 본선대회 발표평가를 통하여 최종 3팀씩을 선발하여 시상할 예정이며, 시상금은 분야별 대상 150만원(1팀), 최우수상 30만원(1팀), 우수상 20만원(1팀)이 주어지며, 울산 동구 중장년기술창업센터의 우선 입주와 대기업 연계지원 혜택이 주어진다.

 

상세한 대회정보는 (재)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및 K 스타트업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The Dong-gu Office of Ulsan City will hold the 2022 Dong-gu Daewangam Start-up Competition in Ulsan to revitalize the local start-up culture and start-up ecosystem and develop Dong-gu, a more prosperous city.

 

This competition is hosted by Ulsan Dong-gu Office, organized by Ulsan Creative Economy Innovation Center and Ulsan Dong-gu Middle-aged Technology Start-up Center, and sponsored by Hyundai Heavy Industries, and is the first start-up competition in Dong-gu, Ulsan.

 

The recruitment of participants will be until 6 p.m. on November 23, and the recruitment will be conducted in two areas: technology start-up and tourism revitalization in Dong-gu, Ulsan. Anyone who is related to Dong-gu, Ulsan, can participate in the recruitment, including individuals, teams, and companies (within 7 years).

 

Six teams in each field will be selected through preliminary (written) screening, and the final three teams will be selected through the final evaluation on December 7, with 1.5 million won (1 team), 300,000 won (1 team), and 200,000 won (1 team) for excellence.

 

Detailed competition information can be found on the website of the Ulsan Creative Economy Innovation Center and K Startup.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