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경남대 역도부, ‘제19회 전국춘계대학생역도선수권대회’서 메달 27개 획득

URL복사

금메달 15개, 은메달 12개 … 박수빈, 박예인, 김예은 선수 대회신기록 수립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경남대학교 역도부(감독 진영삼)는 지난 11월 8일(화)부터 11일(금)까지 충남 서천군민체육관에서 열린 ‘제19회 전국춘계대학생역도선수권대회’에 출전해 금메달 15개, 은메달 12개를 획득하고 4개의 대회신기록을 수립했다.

 

우선 남자부 –109kg급에 출전한 이형민(스포츠과학과 3) 선수, -81kg급에 출전한 하영수(스포츠과학과 2) 선수는 각각 인상, 용상, 합계에서 1위를 기록하며 금메달과 함께 대회 3관왕을 달성했다.

 

–102kg급에 출전한 유동성(스포츠과학과 1) 선수와 –81kg급에 출전한 최승현 (체육교육과 1) 선수는 인상과 용상, 합계에서 각각 2위를 차지하며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어 여자부 +87kg급에 출전한 박수빈(체육교육과 3) 선수와 –76kg급에 출전한 김예은(체육교육과 2) 선수, –71kg급에 출전한 박예인(제육교육과 2) 선수는 각각 인상, 용상, 합계에서 1위를 기록하며 금메달과 함께 3관왕을 달성했다.

 

특히 박예인 선수는 용상 경기에서 종전 112kg에 3kg을 더한 115kg을 들어 올리며 용상 115kg, 합계 200kg으로 대회 신기록을 2개나 달성하는 영광을 안았다.

 

이와 함께 박수빈 선수는 인상 경기에서 종전 95kg에 5kg을 더한 100kg을, 김예은 선수는 인상 경기에서 종전 90kg에 5kg을 더한 95kg의 금빛 바벨을 들어 올리며 우수한 역량을 전국에 과시했다.

 

이어 –64kg급에 출전한 강지수(스포츠과학과 3) 선수와 –71kg에 출전한 강채연(스포츠과학과 1) 선수는 인상과 용상, 합계에서 각각 2위를 차지하며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로써 경남대 역도부는 이번 대회에서 금메달 15개와 은메달 12개를 획득하면서 총 27개의 메달과 대회신기록 4개를 차지하는 성과를 거뒀다.

 

경남대 역도부 진영삼 감독은 “코로나19로 힘든 시기임에도 역도부 선수들의 성장을 위해 아낌없이 지원해주신 경남대 박재규 총장님과 김재구 학생처장님 이하 학내 구성원 모두에게 감사드린다”며 “올 한 해 전국을 무대로 우수한 역량을 발휘하며 다채로운 성과를 거둔 역도부 선수 모두가 자랑스럽고, 다가올 대회에서도 선수들이 마음껏 재능과 기량을 펼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