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산 남구, ‘공업탑1967 특화거리 조성사업’ 행정안전부「2022년 골목경제 회복 지원사업」우수사례 선정

URL복사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 남구(서동욱 남구청장)는 11일 벡스코(BEXCO)에서 열린 행정안전부 주관 ‘2022년 골목경제 회복 지원사업 우수사례 발표대회’에서 공업탑1967 특화거리 조성사업이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번 대회는 ‘2022년 대한민국 지방자치 경영혁신엑스포’ 부대행사로 열렸으며, 코로나19를 극복하고 골목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전국 지자체에서 추진한 우수사례를 발굴·공유하기 위해 개최됐다.

 

울산 남구의 ‘공업탑1967 특화거리 조성사업’은 울산의 옛 최대 상권이었던 공업탑 상권의 부활을 위하여 보행환경개선사업, 종하거리 공영주차장 건설, 공업탑 상징게이트를 설치 등 다양한 노후시설 개선사업을 추진했다.

 

이와 함께, 2021년부터 울산여고 일원에 공업도시 울산의 상징인 공업탑 역사와 고교시절 추억이라는 테마를 결합시켜‘추억여행길 공업탑1967’이라는 지역 고유의 자원을 활용한 특색 있는 거리를 조성함으로써 지역상권 활성화에 기여했다는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특히, 울산여고 담장 추억의 사진 갤러리 조성, 임요양병원 건물 벽면에 이미지월과 행잉사인을 설치, 종하거리 상권 활성화를 위해 새로운 형태의 골목축제인 ‘종하거리 청소년 문화축제’를 개최하는 등 골목경제 회복을 다양한 구성원들의 협력 사례들을 소개해 좋은 호응 받았다.

 

서동욱 남구청장은 “우리 남구가 코로나19로 침체된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추진한 다양한 사업들이 이번 골목경제 회복 지원사업 우수사례로 선정되는 성과로 나타났다”며, “앞으로도 지역경제 활력회복을 위해 골목상권 발굴 및 지원, 특색 있는 골목 축제 등 다양한 사업을 적극 발굴·추진하겠다”말했다.

 


Nam-gu, Ulsan (Mayor Seo Dong-wook) announced on the 11th that the industrial tower 1967 specialized street creation project was awarded at the "2022 Alley Economic Recovery Support Project Presentation Contest" host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n BEXCO.

 

The competition was held as a side event of the 2022 Korea Local Autonomy Management Innovation Expo and was held to discover and share best practices promoted by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to overcome COVID-19 and revitalize the alley economy.

 

The Industrial Tower 1967 Specialized Street Development Project in Nam-gu, Ulsan, promoted various old facilities such as the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the construction of Jongha Street public parking lot, and the installation of the Industrial Tower Symbol Gate.

 

In addition, since 2021, Ulsan Girls' High School has been highly praised for contributing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commercial district by combining the industrial tower history of Ulsan, a symbol of industrial city, and the theme of high school memories.

 

In particular, Ulsan Girls' High School's wall memory photo gallery, image walls and hanging signs were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Im Nursing Hospital building, and a new type of alley festival, Jongha Street Youth Culture Festival, was held to revitalize Jongha Street.

 

Seo Dong-wook, head of Nam-gu District Office, said, "The various projects promoted by Nam-gu District to revitalize the alley business district due to COVID-19 have been selected as excellent examples of the alley economic recovery support project."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