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1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공습경보 등 비상사태 발생 시 대응 및 시민행동요령 안내

URL복사

계속되는 북한의 미사일 도발 관련 조치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시는 최근 계속되고 있는 북한의 미사일 도발에 따른 대응태세를 확립을 위해 ‘공습경보 등 비상사태 발생 시 대응 및 시민행동요령’을 안내한다고 밝혔다.

  

북한이 지난 11월 2일 북방한계선(NLL) 이남 공해상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해 울릉도에 공습경보가 발령되었으며, 7일 북한 총참모부 보도를 통해 지난 2일부터 5일까지 울산 앞바다로 전략순항미사일을 2발을 발사했다고 주장했으나 우리 군 합동참모본부에서는 포착‧탐지된 것은 없어 사실과 다르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울산시는 갑작스러운 공습경보 발령과 비상사태에 대비한 민방위 주민대피시설 점검에 나섰다.

  

또, 북한의 각종 도발 시 행동지침(매뉴얼) 점검과 민방위 경보통제소 비상근무 강화 등의 조치를 취하는 등 비상대비태세를 강화하고 있다.

  

민방공 경보(공습경보)는 적의 미사일 등에 의한 공격이 예상되거나 공격 중일 때 시민들에게 신속히 전파하기 위한 것으로 민방공 경보체계를 통해 전파된다.

  

중앙민방위통제센터에서 공습경보가 발령되면 울산시 상황전파시스템에 따라 울산 관내 80개소 민방위 경보 단말기에서 3분간 사이렌이 울림과 동시에 라디오·티브이(TV)·확성기 등으로 경보방송을 하고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된다.

  

시민들은 공습경보가 발령되면 가장 가까운 민방위 주민대피시설로 신속히 대피하여야 하며 민방위 주민대피시설을 찾을 수 없는 경우 주변의 지하 시설로 우선 대피하면 된다. 운행 중인 차량은 가까운 빈터나 도로 오른쪽에 세운 후 대피하여야 한다.

  

울산시 민방위 주민대피시설은 484개소로 대규모 건물·아파트 지하로 지정되어 있으며 대피소 위치는 ‘안전디딤돌’ 앱과 인터넷 ‘국민재난안전포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위급상황에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사전에 ‘안전디딤돌’ 앱을 설치하여 대피소 찾기는 물론 각종 재난 시 국민행동요령을 알아두는 것이 좋다.

  

김두겸 시장은 “울산은 원전과 석유화학단지가 밀집하고 있어 북한의 최우선 공격목표대상으로 분류되고 있기 때문에 만일의 사태에 대한 철저한 대비로 시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시민들께서도 개인의 안전은 스스로 지킬 수 있도록 안전에 대한 관심을 갖고 비상시에는 울산시의 지시에 적극적으로 따라 줄 것을 당부드린다.”라고 말했다.

 


The Ulsan Metropolitan Government said it will guide "response and civic action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n air raid warning" to establish a response posture to North Korea's recent missile provocation of missiles.

  

North Korea fired a ballistic missile into the open sea south of the Northern Limit Line (NLL) on November 2nd, and an air raid warning was issued on Ulleungdo Island, and the North's General Staff reported on the 7th that it fired two strategic cruise missiles off Ulsan from the 2nd to the 5th, but the South's Joint Chiefs of Staff said it was not detected.

  

In this regard, Ulsan City has started to inspect civil defense residents' evacuation facilities in preparation for sudden air raid warnings and emergencies.

  

It is also strengthening its emergency preparedness by checking the guidelines for action (manual) in case of various provocations by North Korea and strengthening emergency work at the Civil Defense Alert Control Center.

  

Civil air defense warnings are intended to spread quickly to citizens when attacks by enemy missiles are expected or under attack, and are spread through the civil air defense warning system.

  

If an air raid warning is issued at the Central Civil Defense Control Center, sirens will sound at 80 civil defense warning terminals in Ulsan for three minutes, broadcast alarms on radio, TV, and loudspeakers, and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will be sent.

  

Citizens should quickly evacuate to the nearest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y when an air raid warning is issued, and if a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y cannot be found, they can first evacuate to the surrounding underground facilities. Vehicles in operation shall be evacuated after being parked on the right side of a nearby vacant lot or road.

  

There are 484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ies in Ulsan, designated as underground buildings and apartments, and the location of the evacuation center can be found on the "Safety Dimdol" app and the Internet "National Disaster Safety Portal."

  

In order to respond immediately to emergency situations, it is recommended to install a "safety stepping stone" app in advance to find evacuation centers as well as to know how to take public action in case of various disasters.

  

Mayor Kim Doo-kyum said, "Ulsan is classified as the top target of North Korea's attack due to the concentration of nuclear power plants and petrochemical complexes, so we are trying to protect citizens' lives and safety in case of an emergency."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