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김도영 기자] 정부는 이태원 참사 관련 오는 10일부터 다중이용시설 등에 대한 긴급 안전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6일 밝혔다.
오는 7일에는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국가안전시스템 점검회의를 열고 대규모 인파관리 방안 등 현 재난안전관리체계를 점검하고 개선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행정안전부는 11월10일부터 12월9일까지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과 함께 다중이용시설과 최근 사고 발생 시설을 대상으로 긴급 안전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긴급 안전점검 대상은 ▲지역축제 ▲다중이용시설 ▲공연장·경기장 ▲농수산도매시장·전통시장 ▲학교시설 ▲광산 ▲국립공원·유도선 ▲연안여객선·여객터미널 등이다.
김성호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이날 이태원 사고 중대본 브리핑에서 "생활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시설물 이상 유무, 다중운집 시 대피경로 및 위험요소 등을 집중점검하는 방안을 논의했다"고 말했다.
안전점검 현장에는 기관장이 방문해 점검사항을 관리한다. 최근 개별법에 따라 안전검사·점검을 받은 경우, 지적된 조치사항 이행 여부도 함께 살펴볼 계획이다.
점검 결과 경미한 지적사항은 현장에서 즉시 시정하고, 보수·보강이 필요한 경우에는 응급조치 후 신속하게 개선할 예정이다. 또 필요시에는 전문기관을 통해 정밀안전진단을 받도록 할 방침이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참사 사상자에 대한 의료·장례 지원을 이어간다.
복지부는 중환자실 집중관리 필요성을 감안해 이날부터 중환자실 입원환자당 2명의 담당 공무원을 지정하기로 했다.
경상자에 대해서는 의료기관당 1명의 공무원을 배치하되, 담당 환자가 3명을 초과하는 경우 2명을 배정하기로 했다.
사망자에 대해서는 장례식장마다 전담 공무원 1명을 배치해 지원하고 있다.
국가애도기간 종료 후에도 부상자 치료 및 유가족 상담 등 심리지원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한편, 이번 참사로 숨진 내국인 희생자 130명에 대한 장례가 이날 마지막 1명을 끝으로 마무리된다.
외국인 사망자 26명 중 17명은 장례를 마쳤고, 남은 9명 중 6명은 이번주 중에 본국으로 송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