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울산교육청, 장애학생 현장실습 확대...취업연결까지

URL복사

현장실습에 참여한 8명 중, 학생 4명 취업

 

 

[시사뉴스 정윤철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노옥희)이 특수학교 학생들의 취업률 향상을 위한 장애학생 현장중심 맞춤형 일자리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장애학생 현장중심 맞춤형 일자리 사업은 학교와 직업재활전문기관 연계․협업을 통한 진로직업교육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사업으로 울산교육청은 특수학교와 한국장애인개발원, 울산광역시장애인종합복지관과 협업하여 운영 중이다.

 

울산교육청은 2019년부터 매년 12명의 학생을 선발하고 있으며 실제 사업체에서 2~3개월의 현장 중심 직업훈련을 하여 실무능력을 향상하고, 사례 회의와 집중 지도를 통해 취업으로 연계되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한 장애 학생 현장중심 맞춤형 일자리 사업은 훈련지원인의 직무지원과 모의면접실습, 이미지메이킹, 개인 위생관리, 사회생활기본매너 등 취업역량강화를 지원한다.

 

이는 교육활동을 병행하여 취업 기회와 직업 유지 기간을 확대하는 데 도움을 주고 전문인력의 맞춤형 지도와 현장 지도로 안전한 현장실습이 되도록 돕고 있다.

 

특히 울산광역시장애인종합복지관은 장애학생의 직무 특성을 분석하고 표준사업장 등 취업 연계가 가능한 사업체 발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결과 1학기 현장실습 목표 인원인 6명을 초과하여 8명의 학생이 현장실습에 참여하였으며, 그 결과 4명의 학생이 취업으로 연결되었다. 취업 후에도 적응 지도 등을 위하여 지속하여 지원하고 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모니터링을 하며 분주한 사업체 현장에서도 집중해서 일하는 현장실습생의 밝은 얼굴을 보았다”며,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학생들에게 지역사회의 사업체를 발굴하고, 현장 중심의 실습을 제공해 취업까지 연계될 수 있도록 관련 기관과 협력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The Ul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uperintendent Noh Ok-hee) is supporting field-oriented job projects for disabled students to improve the employment rate of students at special schools.

 

The field-oriented job project for disabled students is a project to establish a career vocational education system through connection and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institutions, and the Ul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s operating in special schools, the Korea Disabled Development Institute, and the Ulsan Disabled Welfare Center.

 

Since 2019, the Ulsan Office of Education has selected 12 students every year, and has been supporting actual businesses to improve practical skills by conducting field-oriented vocational training for two to three months, and to be linked to employment through case meetings and intensive guidance.

 

In addition, the field-oriented job project for disabled students supports job support, mock interview practice, image making, personal hygiene management, and basic social life management.

 

This helps to expand job opportunities and job retention periods by combining educational activities, and helps to ensure safe field practice with customized guidance and field guidance from professionals.

 

In particular, the Ulsan Metropolitan City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is trying to analyze the job characteristics of disabled students and find businesses that can link employment, such as standard workplaces. As a result, eight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field practice in excess of the target number of field training for the first semester, and as a result, four students were connected to employment. Even after employment, it continues to support adaptation guidance.

 

An official from the city education office said, "We saw the bright face of field trainees who work hard even at busy business sites while monitoring," adding, "We will do our best to find local businesses and provide field-oriented practice to related organizations."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