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3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기업단신

호텔 아츠 바르셀로나, 위컬렉트(WE COLLECT) 갤러리와 제휴...'아트 스위트룸' 론칭

URL복사

 

[시사뉴스 김남규 기자] 서울-바르셀로나의 건축 아이콘인 호텔 아트 바르셀로나는 마드리드의 대표적인 아트 갤러리 위컬렉트(WE COLLECT)와 제휴하여 유럽의 신진 예술가들을 조명하는 동시에 고객들을 지역 예술 문화에 매료시킨다.

 

이번 제휴는 마드리드의 현대 미술에 영향력을 가진 위컬렉트가 유럽의 문화 중심지인 바르셀로나에 진출한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지중해 연안에 위치한 도심 속 리조트 아츠 바르셀로나는 올 해 7월 호텔 내에 위컬렉트 갤러리를 새롭게 열고 바르셀로나 출신 아티스트 알렌 사스트레(Alan Sastre)의 개인전을 포함하여 500여 점의 아트 컬렉션을 선보이며 미술 애호가들에게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독점적인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위컬렉트는 호텔 아츠의 가장 큰 객실 중 하나인 시그니처 스위트를 전시 공간인 아트 스위트 바이 위컬렉트(Art Suite by WE COLLECT)로 탈바꿈해 호텔 아츠에서만 감상할 수 있는 국내외 아티스트들의 작품을 3개월마다 새롭게 설치한다.

 

위콜렉트의 CEO 엔리케 델 리오앙(Enrique del Ríoand)과 아마이아 데 메카냐(Amaia de Mekaña)는 젊은 신진 아티스트를 홍보하고 기성 아티스트들이 더 많은 관람객과 소통할 수 있는 창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개월마다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아트 스위트 바이 위컬렉트에 초대되어 공간에 맞춰 창작된 작품을 설치하며, 관람객에게 창작자들의 예술적 비전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예술이 공간과 그 공간 속에 거주하는 사람들과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를 보여준다.

 

30층에 위치하며 180m2 (약 54평)가 넘는 크기를 자랑하는 아트 스위트 바이 위컬렉트는 현대적인 편안함, 화려한 바다의 풍경, 엄선된 예술작품의 조합을 뽐낸다.

 

2022년 9월 중순부터 11월 중순까지 아트 스위트 바이 위콜렉트를 예약하는 고객들은, 뒤셀도르프 출신의 아티스트 로맹 블랑크(Romain Blanck)의 강렬한 작품들 속에서 머무를 수 있다.

 

블랑크의 작품은 공책에 있는 낙서, 펜을 테스트하기 위해 그은 지그재그 선, 휴대폰이나 태블릿으로 그린 그림 등을 연상시키는 추상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의 작품에는 낙서, 무심코 그은 선이나 드로잉 등 일반적으로 버려지는 요소들이 재사용되며 그림을 그리는 모든 과정이 그의 작품에서는 뚜렷이 드러난다.

 

2023년 아트 스위트 바이 위콜렉트는 아티스트 베아트리즈 뒤보아(Beatriz Dubois), 라몬 무뇨스(Ramón Muñoz), 카를라 푸엔테스(Carla Fuentes)의 작품을 전시한다. 호텔 아츠 바르셀로나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홈페이지 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