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3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문화

리아(LIA)와 갤러리박영의 만남, 아트 프로젝트 ‘ACCESS TO THE UNKNOWN PLANET: 미지의 세계로 접속’ 개최

URL복사

8월 5일부터 9월 6일까지 리아 프라이빗 뷰잉룸에서 사전 예약제로 운영
세계적인 작가 변종곤의 작품 소개…오브제와 오브제가 더해진 작품의 스토리가 전하는 메시지

 

[시사뉴스 김남규 기자] 이탈리아 아티장의 장인 정신으로 완성된 하이엔드 가구를 소개하는 ‘리아(LIA)’와 작가 지원 예술 프로젝트를 진행해온 파주출판단지 1호 갤러리, ‘갤러리박영’이 변종곤 작가와 함께하는 아트 프로젝트 <ACCESS TO THE UNKNOWN PLANET: 미지의 세계로 접속>(이하 미지의 세계로 접속)을 개최한다. 이번 아트 프로젝트는 리아와 갤러리박영이 협력하여 세계적인 국내 작가를 소개하고, 가구와 예술의 밀접한 관계성을 보여주는 콜라보 프로젝트이다.

 

리아는 ‘Life Inspiration & Art’를 모토로 우리 삶에 영감을 주고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는 매개체가 되는 공간을 지향하며, 고객에게 삶과 밀접한 예술의 가치를 전달하고자 노력해왔다. 다양한 분야의 협업을 통해 유망한 작가들을 대중에게 알리고, 색다른 문화공간으로서 고객에게 다가가고자 지속적인 아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으로 다섯 번째 아트 프로젝트인 <미지의 세계로 접속>은 갤러리박영과 함께 ‘삶과 예술’의 의미를 되짚어보고자 마련됐다.  

 

도서출판 박영사의 문화지원 사업으로 운영되고 있는 갤러리박영은 지속적인 작가 지원 사업과 함께 문화 예술 전반을 아우르는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이번 아트 프로젝트를 함께 준비하게 된 변종곤 작가와의 인연 또한 특별하다. 90년대 중반, 당시 박영사의 안종만 회장은 변종곤 작가의 창의적이고 개성 강한 작품들에 매료되어 컬렉팅을 시작하였고 30여 년 만에 한국에서 변종곤 작가가 갤러리박영을 통해 자신의 초기작을 만나게 된 것.

 

이러한 감회와 특별한 만남을 뜻깊게 생각한 리아는 이번 아트 프로젝트를 개최하며 오브제가 가진 스토리와 공간의 구성에 대한 가치를 다시 한번 전달하고자 한다.

 

변종곤 작가는 뉴욕에서 활동하는 대표적인 한국작가로 1970년대 당시 한국 화단의 극사실 회화의 선두주자로 큰 명성을 얻었다. 1978년 제1회 동아미술대상을 수상하며 ‘새로운 형상성’이라는 한국식 극사실주의를 만들어낸 장본인이기도 하다. 1981년, 보다 자유로운 활동을 위해 한국을 떠난 변종곤 작가는 사물이 주는 기묘한 매력에 빠져 다양한 오브제가 가진 스토리에 그만의 개념과 고찰을 담아내는 ‘믹스드미디어 아티스트’로서 뉴욕에서 새로운 시작을 알렸다. 작품을 통해 종교적 주제와 인간의 실존적 문제, 현대 문명에 대한 비판 등 다양한 주제를 다뤘으며, 사실주의적 회화를 오브제 위에 풀어내 자신만의 관점과 창의적인 시도로 새로운 예술적 장르를 탄생시켰다.  

 

자유롭고 창의적인 변종곤 작가의 행보는 세계적으로도 인정을 받아왔다. 백남준 작가에 이어 한국인으로는 두 번째로, 90년대 미국 클리블랜드 미술관, 인디애나폴리스 미술관 등 미국의 유수 미술관에 작품이 소장된 작가로 기록되었다. 2000년에는 뉴욕타임즈 문화 면에 ‘지구에서의 삶에 대한 회의론적인 견해’라는 윌리엄 짐머의 글과 함께 변종곤 작가에 대한 내용이 크게 기사화되었다. 2012년에는 프랑스 문화원에서 후원, Marie Losier가 감독한 변종곤 다큐멘터리: ’ḂYUN OBJET TROUVÉ’ 가 MoMa Film에 초대되어 MoMa Theater에서 상영되었으며 현재 MoMA가 소장하고 있다.

 

아트 프로젝트 <미지의 세계로 접속>에서는 버려진 물품의 생명을 되살려 현재와 미래의 문명에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는 변종곤 작가의 작품을 소개한다. 작품의 대다수는 극사실주의 기법을 통해 익살과 독설이 공존하는 ‘현대판 풍자화’를 오브제 속에 구현한 놀라운 앙상블라주(ensengblage)를 보여준다.

 

공간 일부에 자리 잡은 리아 브랜드 가구와 변종곤 작가의 다양한 작품들이 어우러진 특별한 공간은 이번 협업 프로젝트를 가장 잘 표현한 구성이다. 변종곤 작가의 다양한 이야기들이 독특하고 비범한 방식으로 조화를 이루는 아이러니한 세계는 청담스퀘어에 위치한 리아 프라이빗 뷰잉룸에서 경험할 수 있다.

 

아트 프로젝트 <미지의 세계로 접속>은 8월 5일부터 9월 6일까지 사전 예약제로 운영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