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백순 기자] 북한이 우크라이나 동부 친러 반군 수립 정부인 소위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의 독립국 지위를 인정하자 우크라이나는 즉각 북한과의 단교를 발표했다.
러시아 국영 타스통신은 13일(현지시간) DPR 지도자인 데니스 푸실린 발표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푸실린은 텔레그램을 통해 "북한은 오늘 DPR을 (독립 국가로) 인정했다"라고 전했다.

그는 "DPR의 국제적 입지와 국가적 지위는 더 강해지고 있다"라며 "이는 우리에게는 또 다른 외교적 승리"라고 자평했다. 이어 북한을 향해 "돈바스 주민에 대한 엄청난 지원"에 감사를 표했다.
푸실린은 "이번 정치적 결정은 또한 향후 경제적 관계의 토대가 될 것'이라며 "양자 파트너십은 우리 기업이 교역을 늘릴 수 있게 할 것이다. 활발하고 생산적인 협력을 고대한다"라고 말했다.
앞서 나탈리아 니코노로바 DPR 외무장관은 전날인 12일 북한과 독립국 지위 인정 협상을 시작했다고 밝힌 바 있다. 양측은 신홍철 주러시아 북한 대사를 통해 수차 실무 회의를 한 것으로 보인다.
니코노로바 장관은 앞서 지난 5월20일 또 다른 우크라이나 동부 친러 반군 수립 정부인 루한스크인민공화국(LPR) 블라디슬라프 데이네고 외무장관과 함께 신 대사를 모스크바에서 만난 바 있다.
이날 북한의 DPR 독립국 지위 인정 소식이 알려진 이후 우크라이나는 즉각 대응에 나섰다. 올렉 니콜렌코 우크라이나 외무부 대변인은 트위터를 통해 "우크라이나는 오늘 북한과 외교 관계를 파기한다"라고 밝혔다.
니콜렌코 대변인은 이번 조치를 "우크라이나 도네츠크·루한스크 지역에서 러시아가 잠정적으로 점령한 영토의 소위 '독립'을 인정한 (북한의) 결정에 대한 대응"이라고 설명했다.
우크라이나통신에 따르면 외무부는 같은 날 별도의 성명을 통해 북한의 이번 결정을 두고 "법적인 결과가 생기지는 않을 것이며, 국제적으로 인정된 우크라이나 국경을 바꾸지도 않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어 "이런 비우호적인 행동에 대한 대응으로 우크라이나는 북한과의 외교 관계 단절을 선언한다"라며 "국제적 제재 때문에 북한과의 정치·경제적 접촉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