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문화

스타트아트코리아, ‘스타트 아트페어 서울’ 작가라인업에 Mark Sloper 공개

URL복사

 

[시사뉴스 김남규 기자] 갤러리아 포레 더 서울라이티움(The Seouliteum)에서 9월 1일~6일 열리는 ‘스타트 아트페어 서울 2022(StART ART FAIR SEOUL 2022)’에 외국 작가들의 대거 참여를 확정하면서 총 200여명의 작가들이 함께 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스타트아트코리아는 Mark Sloper 작가도 함께 한다고 발표했다.

 

Mark Sloper 작가는 Funk와 Rock 음악에 대한 작가의 열정과 태도, 표현력, 문화적인 역동성을 바탕으로 작업하는 유명 작가로써 플래그나 빈티지 의류와 같은 버려지는 재료에 네온으로 장식하여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는다는 평을 받고 있다. 금번 페어에서는 ‘God save the Queen’ 작품을 출품해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을 예정이다.

 

스타트아트코리아는 금번 페어에 참여하는 작가를 순차적으로 공개 중에 있어 Mark Sloper 외에도 추가로 참가하는 작가진을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도 프랑스 파리, 중국 베이징 등에서 전시회를 갖고 일본과 런던의 단체들과 콜라보를 진행하기도 한 레오 야마다(Léo Yamada), 남아프리카에서 야생 동물의 사진을 촬영하는 크리스 팔로우스(Chris Fallows), 영국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하티(Harti), 일본 에반게리온 애니메이터인 요네야마 마이(Yoneyama Mai), 켄타 코바야시(Kenta Cobayashi) 등의 라인업이 공개됐다.

 

‘스타트 아트페어’는 2014년 런던 사치갤러리(Saatchi Gallery)에서 처음 시작된 이후 매년 10월 런던 프리즈 위크 기간에 사치갤러리에서 열리는 아트페로, 오랜 동안 확고한 명성을 쌓아왔다. 지난 5월 31일 ‘스타트 아트페어 서울 2022’의 국내유치를 발표하는 기자간담회가 스타트 아트와 아시아 미술시장 발전을 함께 도모하기 위한 협약을 체결한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려 영국 스타트 아트페어 창립자이자 세계적인 미술품 컬렉터인 데이비드 시클리티라(David Ciclitira)와 큐레이터 세레넬라 시클리티라(Serenella Ciclitira)가 개최발표를 함으로써 서울 개최도 공식화됐다. 기자간담회에서는 기안84, 감만지, 윤민주, 썸머그린, 이훈상, 레지나킴, 미뇽 작가 등 15명의 작가가도 참여했다.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는 ‘스타트 아트페어 서울 2022’의 공식 후원사로 나서 호텔 1층 로비에 작품 전시공간을 10월까지 제공한다.

 

스타트아트코리아 관계자는 “아티스트 중심의 공간연출이 함께 있는 아트페어를 만들고자 다양한 아티스트 전용부스가 대거 준비될 예정이며, 런던스타일의 공간 연출을 통해 국내에서는 볼 수 없던 새로운 스타일의 아트페어로 꾸며질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2021년 사치 갤러리에서 개최된 '스타트 아트페어'에서는 K-팝 코너가 별도로 마련되어 위너(WINNER)의 송민호, 강승윤, 헨리 등의 작품이 선보여져 이번 서울페어에 대한 글로벌 기대가 높아진 상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