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6 (토)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사람들

[이화순의 아트&컬처] 장마리아 개인전 첫날 완판...시각 촉각 만족시키는 <무지개빛>전

URL복사

26일까지 가나아트센터서 60여점 전시 
회화, 조각 경계의 작품들, MZ세대에 인기
화려해진 'Permeation(침투)' 연작 선보여



MZ세대 컬렉터들 사이에 높은 인기를 자랑하는 장마리아(41)의 작품은 질감과 컬러감이 매력적이다. 두텁게 쌓아올린 마티에르(matière)를 통해 물성을 표현하고, 이를 통해 본인만의 조형 언어를 찾고자 끊임없이 새로운 주제와 표현 소재를 연구하고 변주해왔다.  

 

가나아트센터가 26일까지 펼치는 장마리아 개인전 <Iridescent(무지개빛)>에서도 그의 이런 매력은 충분히 맛볼 수 있다. 특히 올해는 무지갯빛에 영감을 받아 종전보다 화려해진 색감의 작품들을 내놓았다.

 

이번 개인전에서는 신작 'Permeation(침투)' 연작을 중심으로 평면 작품 60여 점을 만날 수 있다. 스타들과 MZ세대 컬렉터들에게 인기가 많은 그의 작품은 이미 오픈 첫날 모두 완판을 기록했다. 

 

작가는 마사 천 위에 젤스톤과 회반죽, 모래 등 양감을 표현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해 갖가지 경쾌한 색감을 통해 리듬감 있는 화면을 구성한다. 평면의 캔버스 위에서 보다 입체적인 표현을 통해 조각과 회화의 경계를 보여줌으로써 시각과 촉각을 두루 만족시켜준다.  

 

 

그의 원래 전공은 섬유미술패션디자인(홍익대). 대학 시절 조소 연구도 많이 했다고 한다. 미국 애틀랜타컬리지 영아티스트상(1998-1999) 수상 이후에도 한국섬유미술대전 입선(2003)과 특선(2004), 대동벽지 특선(2004), 'Finding New Textile Design Project' LG CHEM HAUSYS(2007) 등 텍스타일쪽 수상 경력이 돋보인다. 이러한 그의 노력은 정해진 장르나 형식의 경계에 대해 물음을 던지는 작업과 무관하지 않다.   

 

가나아트와 두 번째 협업인 <Iridescent>전에서 장마리아는 여전히 회화와 조각의 영역 어디에도 쉽게 편입되

지 않는 그만의 독자적인 작업 세계를 멋지게 펼쳐내었다.  

 

가나아트센터에서 만난 장마리아는 전업작가가 된 후 스트레스로 한쪽 눈이 거의 안보이는 어려움을 겪었다고 고백했다. “실명 위기의 심리적 불안 속에 자화상 시리즈를 시작했다"는 작가는 "당시는 심리상태도 어두워 캔버스를 회색조로 뒤덮을 정도였다"고 털어놓았다.  아직도 한쪽눈이 불편하다는 그지만, 심리적으로는 치유되어 ‘In Between-Spring Series(사이-봄 시리즈)’의 색채는 한층 경쾌하고 밝아졌다. 

 

 

"주로 이른 새벽에 작업을 시작하는 패턴이 있기에, 아침 햇살에 비치는 찬란한 무지갯빛의 영향을 많이 받아요. 사람 관계에서 영향을 주고받고, 물들고 스며드는 것을 작품 속에서 번짐 효과로 표현하고자 했어요. 이전보다 좀 더 자유롭게 서로 물들게 하는 시도를 하게 됐습니다.”
 
“작품을 할 때 즐기는 마음으로 임한다”는 작가는 “작업을 한다는 것은 내 의지로 그린다기보다 존재했어야 하는 그림을 내가 이뤄준 것뿐이라 생각한다. 또 이번 연작은 자유롭게 날다가 균형을 잡고자 하는 그 중간쯤의 단계를 표현하는 ‘사이’를 나타내고자 했다"고 덧붙였다. 

 

 

그가 재료를 두텁게 쓰다보니 작품 완성에는 최소 3~4주는 걸린다. 1.5주~2주 정도는 양지에서, 1.5주~2주는 음지에서 말리면서 안료에 금이 가지 않도록 하는 과정을 거쳐 작품이 완성된다. 
 
신작 ‘Permeation’ 시리즈에서는 무지개의 일곱 빛깔이 뚜렷한 경계 없이 조화를 이루는 것에서 영감을 받아 각기 다른 색의 안료가 서로 스며들거나 어우러지며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연작을 완성했다. 이 시리즈에서 그는 화면을 물감으로 물들이듯 채색해 주로 단색조였던 전작들과의 차별점을 보여준다. 

 

장마리아는 ‘2022 화랑미술제’에서 개장 직후 모든 작품이 완판되며 인기를 증명했다. 그의 작품은 2021년 하반기 국내 경매시장에 첫 등장을 시작으로, 2022년 현재에도 작품 거래량과 거래가가 상승 중이다. 한편 프랑스 와이너리 엠 샤푸티에와 콜라보레이션 와인을 선보이기도 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