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06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경제

[마감시황] 코스피, 기관 매수세에 0.35% 상승...코스닥 0.08%↑

URL복사

 

[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코스피가 기관의 매수세에 힘입어 0.35% 상승했다. 코스닥은 관망세가 짙은 가운데 기관과 개인의 순매수세의 영향으로 0.08% 상승하는데 성공했다. 외국인들은 양대 시장에서 순매도세를 보였으나 선물시장에서는 순매수세를 보였다.

1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718.69) 대비 9.52포인트(0.35%) 상승한 2728.21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코스피는 0.26% 상승한 2725.71에 출발해 한때 2737.54까지 치솟기도 했다. 하지만 오후 들어 상승 폭이 둔화되는 모습이 보였다.

투자자별로 기관이 6373억원 나홀로 순매수해 지수 상승을 이끌었고, 개인은 5672억원 순매도하며 차익실현에 나섰다. 외국인도 577억원 매도우위로 나타났다.

다만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들이 4843계약 순매수했고, 기관과 개인은 4519계약, 1000계약 순매도했다.

업종별로는 비금속광물(1.32%), 건설업(1.24%), 전기가스업(1.11%), 철강금속(1.01%), 화학(0.9%) 등이 상승했고, 의료정밀(-1.44%), 섬유의복(-1.25%), 음식료품(-0.87%), 서비스업(-0.66%), 운수장비(-0.29%) 등이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희비가 엇갈렸다. 대장주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300원(0.45%) 오른 6만7700원에 마감했고, LG에너지솔루션(0.11%), SK하이닉스(0.44%), 삼성바이오로직스(0.12%), 삼성SDI(0.49%) 등이 올랐고, NAVER(-1.90%), 카카오(-1.58%), LG화학(-0.4%), 기아(-0.25%) 등이 하락했다. 현대차는 전 거래일과 같은 가격으로 장을 마쳤다.

코스닥은 전 거래일(928.93) 대비 0.75포인트(0.08%) 오른 929.68에 문을 닫았다. 코스닥지수는 0.16% 오른 930.45에 출발해 930선을 유지했으나 장 마감 직전 상승 폭이 둔화돼 920선으로 장을 마쳤다.

시총 상위 종목은 대부분이 하락했다. 에코프로비엠(-0.13%), 셀트리온헬스케어(-0.82%), 펄어비스(-3.51%), 카카오게임즈(-0.31%), 셀트리온제약(-1.24%), HLB(-1.14%), CJ ENM(-0.84%), 위메이드(-1.18%) 등이 하락했다. 반면 엘앤에프(1.99%), 리노공업(1.44%) 등은 상승했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미국 국채금리 하락 전환과 테슬라 등 주요 기업 실적 호조가 국내 증시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면서 "다만, 미 증시에서 넷플릭스 실적 쇼크와 NAVER 1분기 실적 기대감 축소되며 성장주가 약세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李대통령 "연속 인명사고 낸 포스코이앤씨 '면허취소·입찰금지' 등 제재 검토"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연속적인 인명 사고를 발생시킨 포스코이앤씨에 대해 예방 가능했는지 면밀히 조사하고 건설면허 취소와 공공입찰 금지 등 법률상 가능한 방안을 찾아 보고할 것을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6일 최근 건설 근로자가 크게 다치거나 사망하는 사고가 잇달아 발생한 포스코이앤씨에 대한 철저한 진상 조사를 지시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 대통령은 연속적인 인명 사고를 발생시킨 포스코이앤씨에 대해 매뉴얼 준수 여부 등을 철저히 확인하고 예방 사고가 아니었는지 면밀히 조사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강 대변인은 또 "(이 대통령이) 건설면허 취소와 공공입찰 금지 등 법률상 가능한 방안을 모두 찾아서 보고할 것을 지시했다"며 "이러한 산업재해가 반복되지 않도록 징벌배상제 등 가능한 추가 제재 방안을 검토해 보고할 것을 지시했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이 최근 포스코그룹에서 중대재해 사고가 빈발한 것을 강하게 질책하며 엄정 대응을 예고한 가운데 포스코이앤씨에서는 지난 4일 또 다시 작업 중이던 근로자가 감전으로 의식을 잃는 사고가 발생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과태료 수준의 제재로는 중대재해 재발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만시지탄(晩時之歎)…가짜뉴스 유튜버 징벌적 배상 검토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돈을 벌기 위해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유튜버에게 징벌적 손해배상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 대응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대통령은 “돈을 벌기 위해서 불법을 자행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형사처벌을 하게 되면 검찰권 남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일 좋은 것은 징벌 배상(징벌적 손해배상)”이라고 말했다. 유튜브가 유행하면서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이 “사망했다”, “이혼했다”, “마약을 했다” 등 사실과 다른 가짜뉴스를, 자극적인 내용의 썸네일(제목)로 클릭을 유도해 조회수를 늘려 돈을 버는 유튜버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유튜브에서의 조회수는 곧 돈이기 때문에 점점 더 자극적인 내용으로 괴담 수준의 가짜뉴스를 생산해 내기에 여념이 없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다.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확인되지 않은 자극적 루머를 사실인 것처럼 포장해 이목을 끌고 조회수를 늘려나가고 있다. 세(勢)싸움을 하는 듯한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는 유튜버가 단순히 돈을 버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기 때문이다.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