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이 대통령 집무실이 용산으로 이전하면 구도심에 높이제한을 풀고 용적률을 완화해 빌딩·나무숲이 공존하는 공간을 만들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부동산 정책과 관련해서는 가격 상승을 최대한 억제하는 기조 하에서 중앙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주택을 공급해 나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오 시장은 12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3층 대회의실에서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를 갖고 "청와대 내 불통 구조가 있었지만 시민들에게 이제 개방될 것"이라며 "이 시점을 기점으로 해서 실효성있는, 시민들에게 편의성과 쾌적성을 드리고 행복감까지 느끼는 서울 도시를 만들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통령 집무실이 용산으로 이전하면 서울 구도심을 빌딩숲과 나무숲이 공존하는 '녹지생태도심'으로 구현하겠다는 계획이다.
오 시장은 "과거 북악산 기슭에서 인왕산 기슭, 청계천, 한강까지 이어지는 모습을 구상해볼 수 있고, 창경궁에서 녹지로 이어지는 율곡로 사업이 올 하반기에 완성되는데 거기에 이어 퇴계로 1~8가까지 가장 대표적인 구도심 지역을 어떻게 바꿀지가 관건"이라며 "조만간 '녹지생태도심' 개념의 새로운 도심 프로젝트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구도심을 재개발해 쾌적한 업무공간을 만들어 내는 데에 심혈을 기울이고, 1㎞ 상공 위에서 그 지점을 내려다본 모습이 다 초록빛이 될 것"이라며 "런던, 뉴욕 등의 도심의 녹지면적은 15~25%인데 서울의 녹지공간은 5%, 공원 등을 합해도 7~8%정도로 선진국 도심과 비교해 턱없이 부족하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서울의 녹지면적이 10% 이상 될 수 있도록 도심에 푸른 공간이 늘어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높이제한을 풀고 용적률을 최대한 부여하면 공공에 기여하는 부분이 많아질 수 밖에 없고, 그 땅을 녹지와 나무숲을 만들 것이다. 조만간 그 구체적인 방법론이 제시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 부동산 정책에 대해서는 "서울시는 주택공급도 중요하지만 부동산 가격이 더 중요하다는 말씀을 분명히 드렸다. 앞으로 새 정부 출범 이후 서울시와 협조관계를 이뤄가는 과정에서 부동산 가격을 자극하는 일 없도록 최대한 정교하게 접근하겠다"며 "국토부장관으로 내정된 원희룡 전 지사와 통화할 때에도 그 점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지난 10년 간 서울 주택공급이 '암흑기'였다며 '주택공급의 선순환 체계'를 만들겠다고도 약속했다. 그는 "지난 5년 간 정부가, 10년 간 서울시가 주택공급을 극도로 억제하면서 갈증이 강해졌을 것"이라며 "중산층 이상의 경우 충분한 신규주택공급을 통해 주택공급 선순환 체계가 자유시장 경제 질서 하에서 원활히 돌아가는 것을 바람직하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재건축·재개발은 경제성장 기조에 맞춰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물량을 공급하는게 선순환 공급의 첫 걸음"이라며 "평수를 늘리고 신규 주택으로 옮겨가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부터 선순환의 고리는 풀린다"고 강조했다.
그는 "재원이 부족한 분들을 위해 지금까지 임대주택으로 분류하던 것을 공공주택으로 부르기로 방침을 바꿨다"며 "면적을 1.5배 정도 늘리고, 그 분들도 양질의 집에서 산다 하는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그런 면적과 품질을 공급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