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준민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장애인 단체의 항의방문에 맞서 엘리베이터 전원을 차단한 것으로 알려져 물의를 빚고 있다.
자칫 장애인 인권침해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자 뒤늦게 사과하면서 사태수습에 나섰지만, 논란은 쉽게 사그라지지 않을 전망이다.
12일 밝은내일IL종합지원센터에 따르면 최창현 센터장 등 센터 회원 15명은 지난 11일 오후 LH 대구·경북본부 본부장실을 찾았다.
LH 대구·경북본부에서 최근 신축한 빌라 3동의 엘리베이터 앞에 계단을 만들어 휠체어 장애인의 입주를 막은 데 대한 항의방문이다.
휠체어 장애인 등이 모두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기에는 공간이 부족해 최 센터장을 비롯한 7명이 먼저 본부장실을 찾았는데, 이후 항의방문을 눈치 챈 LH 측이 엘리베이터를 전원을 차단하는 바람에 8명은 1층에서 발이 묶였다.
몸이 불편한 장애인들은 두 시간이 넘게 1층에서 LH 측과 실랑이를 벌인 끝에 겨우 본부장 면담을 허락받았다.
최 센터장은 이재용 본부장과의 면담에서 먼저 LH 측이 엘리베이터 전원을 차단한 것은 명백한 인권침해라고 따져 물으면서 공식적인 사과를 요구했다.
이에 이 본부장은 “이곳까지 오게 해서 죄송하다”며 사과했고, “LH에서 빌라를 지으면서 장애인들을 배려하지 못해서 죄송하다”고 덧붙이면서 고개를 숙였다.
최 센터장은 이 본부장의 사과로 엘리베이터 차단 문제가 일단락되자 장애인들을 배려하지 않은 LH 측의 공공주택 건립에 대한 문제를 본격적으로 따져 물었다.
최 센터장은 “청년과 다자녀 가정에 임대하기 위해 빌라를 지으면서 왜 장애인 편의시설은 고려하지 않았나? 청년과 다자녀 가정에도 수많은 장애인이 있는데, 이는 명백한 차별이다”고 몰아붙이자 이 본부장은 “미처 거기까지는 생각지 못했다”면서 다시 한 번 고개를 숙였다.
이어 “엘리베이터 앞에 계단을 만든 빌라 3개 동은 LH에서 신축 전에 건물주와 약정을 했다고 하더라도 절대 매입해서는 안 된다”고 못을 박자 이 본부장은 “담당 부서와 협의해 답을 내놓겠다”고 한발 물러섰다.
최 센터장은 “이번 일을 계기로 LH와 도시공사 등에서 직접 신축하는 주택은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를 의무화하도록 국토부에 강력히 요구해 반드시 관절 시키겠다”고 의지를 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