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한지혜 기자] 제주 마라도 남서쪽 먼 해상에서 해경 소속 헬기가 추락한 가운데 실종자 1명을 찾기 위한 대대적인 수색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8일 제주지방해양경찰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1시32분께 공해상인 제주 마라도 남서쪽 약 370㎞ 해상에서 남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 헬기 S-92(4명 탑승)가 추락했다.
이 사고로 부기장 정두환(51) 경위와 전탐사 황현준(28) 경장이 해경에 의해 구조됐으나 숨을 거뒀다. 이들은 구조 당시 이미 의식이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다행히 기장 최모(47)씨는 중상을 입었으나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상태로 현재 제주 시내 대형병원에서 치료를 받으며 안정을 취하고 있다.
최 기장을 치료 중인 담당의 김중석 제주권역외상센터 응급실장은 "환자는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전반적으로 중증외상인 정도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사고는 헬기가 해경 3012함에 구조대원 6명을 내려준 후 부산으로 향하던 과정에서 발생했다. 헬기가 지난 7일 오전 10시께 대만 서쪽 약 30㎞ 해상에서 예인선 '교토 1호'가 조난 당했다는 접수를 받고 수색·구조를 위해 급파돼 작전을 수행하고 있었다.
박제수 제주해경청 경비안전과장은 "헬기가 3012함정을 이륙한 지 30~40초 만에 해상에 추락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후 탑승자 수색에 나서 3명을 구조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정비사 차모(42)씨는 여전히 실종상태이다.
해경은 차씨를 찾기 위해 가용 가능한 모든 자원을 동원한다는 계획이다. 사고 해역에는 해경 경비함정 2척을 비롯해 해군 군함 2척, 남해어업관리단 관공선 1척, 항공기 4대 등이 수색구조 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 구조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해경 경비함정 3척과 해군 군함 2척, 남해어업관리단 관공선 1척이 추가 투입될 예정이다.
해경 관계자는 "가용자원을 총동원, 날이 어두워져도 조명탄 등을 발사해 계속해서 야간 수색구조 작업에 집중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사고 원인은 추락한 헬기 동체가 인양 돼야 규명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해경은 헬기 블랙박스 등을 확보해야 정확한 사고 경위를 알 수 있다고 전했다.
사고 당시 현지 기상은 2~4m의 남동풍이 불고, 파고는 1m 내외로 기상 악화로 인한 사고는 아닌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편 해경은 대만해역에서 한국 선원 6명을 태운 채 사라진 선박 교토 1호(322t·승선원 6명)를 찾기 위한 주변 해역 수색도 병행하고 있다.
교토 1호는 바지선 B호(3732t·승선원 없음) 매매를 위해 부산항을 출항해 인도네시아로 이동 중이었다. 비상위치지시용 무선표지설비(EPIRB) 구조 신호를 처음 접수한 대만 구조조정본부(RCC)에서 경비함정 등을 급파해 부선 B호를 발견한 것으로 전해졌다.
교토 1호는 현재까지 보이지 않아 해경은 침몰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