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e-biz

데이터 수집 가공 서비스 제공업체 바이트브릿지, 2D-3D 센서 퓨전 어노테이션 서비스 출시

URL복사

 

[시사뉴스 김남규 기자] 데이터 수집 가공 서비스 제공 업체인 바이트브릿지(ByteBridge)는 2D-3D 센서 퓨전 어노테이션 서비스를 공식 출시했다고 10일 밝혔다.

 

해당 기업은 자동차 제조업체, 자율주행 솔루션 개발자, 정부 기관 산하 과학 연구 센터 등과 협력을 해온 경험이 있어 풍부한 R&D 리소스를 보유하고 있다. 지금까지 진행해온 어노테이션 프로젝트는 맞춤형 3D 포인트 클라우드 어노테이션 및 2D-3D 센서 퓨전 어노테이션이다.

 

바이트브릿지는 특수한 어노테이션 유형에 대해 실시간으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서비스 및 프로세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실시간 대시보드와 각종 어노테이션에 대한 QC 도구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관련 피드백을 제출할 수 있다.

 

무인 자동차의 핵심 기술은 주로 환경 인식, 위치 및 탐색, 계획 및 의사 결정, 차량 제어 등이다.

 

그중 인식 작업에는 센서가 사용된다. 하지만, 센서마다 감지 거리, 해상도 및 방향성과 같은 매개변수가 다르며 물체 감지, 인식 및 환경 적응성 측면에서 각각의 장단점이 있어 최근 최고의 탐지 결과를 얻기 위해 전문가들은 여러 센서의 데이터를 병합한 센서 퓨전 솔루션을 채용하고 있다.

 

자율주행차는 온보드 카메라, 라이다(LiDAR), 밀리미터파 레이더 등의 센서를 통해 주변 환경을 감지하고 실시간으로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획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하고 안전하고 합리적인 경로 계획을 수립한다.

 

센서 중 LiDAR는 다중 레이저 빔의 고주파 방출을 통해 얻은 고화질 3D 포인트 클라우드는 야간에도 거의 모든 장애물을 감지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모르도르 인텔리전스(Mordor Intelligence) 보고서에 따르면, 센서 퓨전 시장은 2020년 47억 2,000만 달러(한화 약 5.68조)에서 2026년 136억 2,000만 달러(한화 약 16.4조)로 2021~2026년 동안 19.2%의 연평균성장률을 보일 전망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