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2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경제

에이치엘비 진양곤 회장, 저점마다 주식 취득...의미 뭐나

URL복사

 

에이치엘비파워 매각 계약금으로...10만주 매수

 

[시사뉴스 황수분 기자] 진양곤 에이치엘비(028300) 회장이 에이치엘비파워(043220) 매각계약금을 활용해 에이치엘비 지분 추가 취득 소식에 주가가 급등했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에이치엘비는 전 거래일 대비 6.47% 상승한 3만6200원에 마감했다. 이는 진양곤 회장의 지분 취득이 주가 상승에 매개체가 된 것으로 보인다.

진 회장은 지난 11일부터 16일까지 4거래일 동안 에이치엘비 주식 10만주를 매수했다. 11일 2만7185주를 사들인데 이어 14일 3만주, 15일 4만2814주를 추가로 매수했고, 지난 16일에는 1주를 추가로 취득했다.

이에 따라 진 회장의 에이치엘비 지분율이 기존 8.02%(851만 902주)에서 8.12%(861만 902주)로 늘었으며, 특수관계인을 포함한 지분은 12.84%로 확대됐다.

이번 지분 추가 취득은 에이치엘비파워 지분을 매각한 자금이 활용된 것으로 보여진다. 지난 8일 진 회장은 자신과 특수관계인의 주식 876만6139주를 263억원에 티에스바이오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지난 11일부터 16일 매수 단가는 3만3050원부터 3만3433원으로 나타났다. 단순 계산시 약 33억원의 자금을 투입해 지분을 취득했다. 에이치엘비파워 매각계약금은 매각액의 10%인 26억3000만원이다. 


앞서 지난 2월에도 에이치엘비는 100% 무상증자를 결정해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움직임을 나타냈다.

에이치엘비 관계자는 "진양곤 회장은 신약 성과가 늦어지는 것에 대한 책임경영 방식을 고민해왔다"며 "이번 지분 추가 매수는 주주가치 제고와 함께 최대주주로서 신약개발에 대한 의지를 확고히 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간 진 회장은 주가가 저점이라고 판단할 때마다 회사의 주식을 취득해오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2016년, 진 회장은 6월24일과 27일 2거래일간 에이치엘비 주식 3만5000주를 장내 매수했다.

 

에이치엘비파워의 경우 2018년 12월 63만8671주, 2019년 1월 24만5839주를 사들였다. 지난해 9월28일에는 넥스트사이언스 주식 83만1935주를 장외 매수하기도 했다.

진 회장이 주식을 사들일 경우 주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모습이 나타났다. 지난 2016년 6월28일 에이치엘비 주식 장내매수 공시가 나간 후 한달간 약 27% 가량 상승했다. 에이치엘비파워의 경우, 2019년 1월 공시 이후 한달간 17.6% 가량 올랐다. 넥스트사이언스는 관련 공시가 있던 날, 주가가 크게 급등한 바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제주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미디어아트 융복합 실감뮤지컬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제주의 이야기를 소재로 한 창작 뮤지컬을 만나기 힘든 제주에서 ‘제주 이야기 창작 뮤지컬’ 2편과 ‘어부와 바다 이야기’ 연극 1편이 한 극장에서 연이어 상설공연을 시작한다. 화이브행크가 2022년과 2023년 제주 지역특화콘텐츠지원작에 선정됐던 미디어아트 융복합 실감뮤지컬을 2년 동안의 업그레이드 작업을 통해 드디어 7월 25일 ‘제주이야기 힐링극장’(옛 제주관광대 컨벤션홀) 무대에 올린다. 첫 번째 작품 ‘뮤지컬 - 그림책 속 제주 이야기’는 우도를 배경으로 해녀 전사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3총사의 이야기를 담은 ‘애기해녀학교’, 제주 돌담이 되어버린 흑룡의 전설을 담은 ‘흑룡만리’, 함덕에서 유년을 보낸 엄마가 들려주는 바다놀이 이야기 ‘청청 거러지라 둠비둠비 거러지라’ 등 그림책에서 뽑아낸 총 3편의 이야기를 옴니버스식으로 구성했다. 재미, 감동과 함께 제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2022년에 창작, 초연한 이 작품은 제주와 서울 공연에서 인터파크티켓 관객 평점 10점과 어린이/가족부문 전국 4위, 예스24 전국 가족뮤지컬 랭킹 5위까지 오른 작품이다. 매주 토·일요일 오전 11시, 오후 2시에 만날 수 있다. 두 번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