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광기술원 '라이다 융합기술' 활용 개발 성공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한국광기술원이 선박에 저장된 원유와 가스의 안전한 이입을 돕는 '로딩암(Loading Arm) 안전감지 장치' 국산화에 성공해 수입대체 효과와 함께 해양오염 방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한국광기술원은 ㈜케이에스티와 공동으로 '라이다(Lidar)·이미지 융합센서 기술'을 활용해 선박 위치를 감지하고 이격정보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장치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 장치는 정유운반선이나 가스탱크선이 부두 인근의 석유화학공장으로 원유나 천연가스 등을 이송할 때 사용하는 로딩암(Loading Arm)의 이탈 정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함으로써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기존에는 석유화학제품을 하역하거나 선적할 때 현장 작업자가 육안으로 로딩암 상태를 확인해야 해서 안전조치에 대한 판단 정확성이 떨어졌다.
정확성 저하로 로딩암 접속 장치가 절단될 경우 액화물질 유출로 해양환경을 오염시키는 사고도 속출했다.
하지만 한국광기술원 지능형광IoT연구센터와 케이에스티가 공동 개발한 선박이탈 감지장치는 라이다 기술을 적용, 선박 접안거리 변화를 측정하고 이미지센서 기술로 선박의 상하좌우 움직임까지 감지할 수 있다.
특히 1m 이상의 이상 변동이 발생하면 선박과 항만시설 관리자에게 로딩암 선박 이탈 경고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여기에 ICT기술을 적용해 선박 접안상태 정보와 로딩암 이탈 여부를 부두 현장뿐 아니라 외부에서도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도록 편의성을 높였다.
현재 이 장치는 전남지역 한 산단 부두에 설치해 다양한 선박 종류와 날씨 변화에 대한 실증을 진행하고 있다.
김정호 한국광기술원 지능형 광IoT연구센터장은 "라이다·이미지 융합센서 기술은 다양한 산업의 안전 모니터링 분야에 확대 적용할 수 있다"며 "지속적인 광융합센서 기술개발을 통해 광ICT융합산업분야 기업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