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2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e-biz

샘 에델만(Sam Edelman), 라비나(LAVINA) 새로운 컬러 출시

URL복사

 

다양한 룩에 어울리는 플랫슈즈 라비나, 내추럴과 카나리 옐로우 컬러로 이목집중

 

[시사뉴스 김찬영 기자] 미국의 아이코닉한 라이프 스타일 슈즈 브랜드 샘 에델만(Sam Edelman)이 21SS 시즌, 뮬 제품 라비나(LAVINA)의 새로운 컬러를 공개했다.

 

라비나(LAVINA)는 우아한 곡선이 돋보이는 클래식한 뮬 형태의 디자인으로 다양한 스타일링과 어울려 여성들에게 많은 애정을 받고 있다. 특히 매끈한 실루엣과 볼드한 버클 장식이 특징인 라비나는 이번 시즌 내추럴 컬러와 카나리 옐로우 컬러로 출시되었다.

 

라비나(LAVINA)는 슬랙스나 수트를 활용한 오피스룩 뿐만 아니라 원피스나 스커트 등과 함께 매치해 여성스러운 무드 돋보이는 패션에서 포인트 아이템으로 연출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샘 에델만은 이번 봄 신상품인 라비나 플랫 슈즈를 착용한 인플루언서들의 사진을 공개했다. 이들은 봄 시즌 머스트 해브 아이템인 트렌치코트와 페미닌한 무드의 원피스에 내추럴 컬러의 라비나를 매치하는가 하면, 셔츠와 스커트에 카나리 옐로우 컬러의 슈즈를 착용해 엣지 있는 봄 스타일링을 보여주었다.

 

 

이번 SS 시즌 내추럴, 카나리 옐로우 컬러로 출시된 라비나 플랫슈즈는 10만원 대의 합리적인 가격으로 선보이며, 신세계백화점(강남점, 경기점, 대구점 등)과 롯데백화점(본점, 영등포점, 인천터미널점 등) 그리고 온라인 채널 (S.I.VILLAGE, SSG닷컴, 29CM 등)을 통해 만나볼 수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