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 '희망나눔2021 나눔캠페인' 사랑의 온도 달성

URL복사

총96억6000만원인데 목표액 84억 9000만원보다 초과한 금액이 모여 목표량을 초과해

[시사뉴스 김병철 기자 ]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지난해 12월 1일부터 올 1월 31일까지 62일간 진행한 ‘희망2021 나눔캠페인’ 가집계 결과 96억 6000여만 원이 모여 사랑의 온도 114.1도를 달성했다.


이는 목표액 84억 9000만 원 보다 11억 7000만 원 초과한 금액이다.
대구공동모금회는 지난 1일 중구 동성로 옛 중앙치안센터 앞 사랑의 온도탑 앞에서 김수학 대구모금회장 및 임직원, 기부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희망 2021 나눔캠페인’ 폐막식을 갖고 62일간의 행복한 동행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 같은 성과는 대구의 장기 경기침체에다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상황에서 이룬 것으로 의미가 크다. 당초 목표액 달성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익명 등의 방법을 통한 개인 기부자들의 힘이 컸다.
실제 전체 모금액은 지난해 109억 4200만 원에 비해 줄었지만 개인 기부액이 42억 3900여만 원으로 전체의 43.9% 비율을 차지, 지난해 수준으로 유지됐다.


지역에 기반을 둔 기업들은 한마음으로 사랑의 온도탑 수은주를 높였다.
캠페인 첫날 한국부동산원이 5억 원을 기부했고, 에스엘서봉재단이 4억 3000여만 원을 내놔 나눔 열기를 이어갔다. 화성산업(주)은 기부금을 지난해 1억 원에서 올해 2억 원으로 늘렸고 DGB금융그룹, 한국가스공사, 삼익THK(주), 희성전자(주), 평화큰나무복지재단, ㈜서보, 태성전기(주), 이월드, 이랜드리테일 동아백화점, KK주식회사, 대구팔공컨트리클럽 등 기업이 1억 원 이상 통 큰 기부를 했다.


또 개인 기부자들의 활약도 빛났다. ‘대구 키다리 아저씨’는 마지막 기부로 스스로 한 10년간 약속을 마무리하며 전 국민들의 가슴을 뭉클하게 만들었다. 또 고사리손에서 나온 동전을 모아온 유치원생들의 저금통, 건물 청소 아주머니들의 작은 정성, 손주들을 위해 아껴둔 어르신들의 쌈짓돈, 착한 대구 캠페인(착한일터, 착한가게, 착한가정, 착한시민)에 정기적으로 참여한 기부자들까지 각계각층의 성금이 모였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