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5 (금)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전기ㆍ전자ㆍ통신ㆍ중화학

한국핀테크지원센터,“한국-중국 핀테크 해외진출 웨비나”성료

URL복사

 

중국인민대학교, 국내외 핀테크 관계자들의 참여

국내 핀테크 기업의 중국 진출 지원 네트워크 구축

 

[ 시사뉴스 김도훈 기자 ] 한국핀테크지원센터(이사장 : 정유신)는 “한국-중국 핀테크 해외진출 웨비나”(12.16(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본 웨비나는 한국핀테크지원센터가 주관하여 중국인민대학교, 중국 벤처케피탈, 국내외 핀테크 관계자 등이 참가했다. 또한, 중국인민은행의 CBDC(Central Bank’s Digital Currency) 정책 동향, 국내 핀테크 생태계 소개, 국내외 핀테크 기업의 IR 피칭(Pitching) 등이 진행되어 양국 간 핀테크 교류 활성화를 위한 의견을 공유했다.

 

본 웨비나는 총 3세션(중국 발표, 한국 발표, 질의응답)으로 진행됐다.

 

중국 발표 세션에서는 디지털 화폐 및 ESG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투자 분야의 핀테크 전문가의 발표가 진행되었다. ▲Zhou Hong 중국인민대학교 교수는 “중국인민은행은 디지털 화폐를 단계적으로 발행할 예정이며 종이 화폐와 디지털 화폐가 공존하는 시기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Max Song 카본베이스(Carbonbase) 대표는 자사의 핀테크 기술을 활용해 탄소 오프셋(carbon offset) 시장을 창출하여 기후환경에 기여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Sunny Cheung 오리엔탈페이먼트그룹(Oriental Payment Group) 부사장은 “중국의 모바일 결제 시장은 지난 5년간 4배 가까이 성장했으며 자사는 중국 방문을 희망하는 한국 관광객들을 위한 해외송금 서비스 등을 제공 중”이라고 말했다.

 

한국 발표 세션에서는 국내 핀테크 생태계 및 기업 소개가 이어졌다. ▲정유신 한국핀테크지원센터 이사장은 국내 핀테크산업 활성화 정책과 핀테크 생태계를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한국은 2018년 금융혁신지원특별법 제정과 함께 금융혁신을 보여주고 있으며, 2020년 초 데이터 3법의 국회 통과와 함께 시작된 마이데이터 산업의 성공이 국내 금융 시장의 새로운 도전과제”라고 설명했다. ▲이승윤 보맵(Bomapp) 빅데이터랩장은 자사의 온라인 보험 플랫폼 서비스를 소개했다. ▲하재우 트루테크놀로지스 (TRU Technologies) 대표는 자사의 증권대차계약 전산화 서비스를 소개했다.

 

마지막으로, 질의응답 세션에서는 한국 디지털 화폐 추진 동향 및 양국 간 핀테크 기업 해외진출을 위한 다양한 의견 논의가 이어졌다.

 

한국핀테크지원센터는 이후에도 전세계 해외기관·대사관 등과 긴밀히 협력하여 국내 핀테크 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웨비나를 지속적으로 개최할 예정이다. 웨비나를 비롯한 핀테크 해외진출 관련 일정은 핀테크포털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핀테크 해외진출 웨비나는 핀테크 협력에 관심 있는 사람은 누구나 사전 신청을 통해 참석할 수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조선의 천재 시인 허난설헌의 삶을 재조명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좋은땅출판사가 ‘허초희의 일생’을 펴냈다. 이 책은 조선 중기의 여류 시인 허난설헌(본명 허초희)의 삶을 재조명한 장편소설로, 작가 이동문은 역사적 인물에 대한 충실한 고증을 바탕으로 허초희가 겪은 현실과 내면의 갈등, 예술적 열망을 입체적 서사로 풀어냈다. 허엽, 허봉, 허균 등 당대 문인 명가 출신인 허초희는 명나라 지식인 반지항에게 ‘천인의 경지’라 불릴 정도로 뛰어난 문학성을 지닌 인물이다. 그러나 뛰어난 재능과는 별개로 조선이라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유교적 억압과 가족의 상실, 전쟁과 유배 등 여러 고난을 겪었다. ‘허초희의 일생’은 허초희가 문장을 통해 시대를 견디고, 감정과 사유를 표현했던 과정을 연대기 형식으로 섬세하게 조명한다. 소설은 허초희의 일생을 총 18장과 에필로그로 구성했다. 각 장은 그녀의 나이와 시대적 사건을 중심으로 구성돼 있어 역사 소설로서의 구조적 완성도도 갖추고 있다. 작가는 ‘한 여인의 문장이 시대를 넘어 어떻게 살아남는가’라는 질문 아래 허초희 개인의 서사에 머무르지 않고 당대 여성의 현실과 감정을 함께 담아냈다. 상상력과 고증의 균형 속에서 인물의 내면을 복원해낸 이 소설은 단순한 전기적 묘사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