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12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문화

10회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 폐막

URL복사
작지만 청소년들의 영상으로 7일동안 볼륨을 높인 10회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가 막을 내렸다.
김태희 감독과 이병수 감독의 사회로 시작된 폐막식은 정유성 조직위원장, 김종현 집행위원장을 비롯하여, 임권택 감독, 정일성 촬영 감독, 조광희 영화사 ‘봄’ 대표, 변성찬 영화평론가, 변영주 감독 등의 영화계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사회를 본 김태희 감독은 3회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에서 수상하였으며, 얼마 전 영화 <동거, 동락>을 개봉했다. 또 이병수 감독은 현재 대학생으로 지난 9회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에서 수상, 부산국제영화제까지 진출하였다.
김종현 집행위원장은 “축하 공연을 비롯하여 사회자까지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 출신자 들이 맡아서 진행하는 것은 흥미로운 점이고, 이제는 성인이 된 그때의 청소년들처럼 영화제도 그만큼 성장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시상은 만 13~18세까지의 청소년 1부와 만 19~24세까지의 청소년 2부로 나누어 진행했다.
청소년 1부의 대상인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은 이삭 쉬렘(Isaac Shrem) 감독(미국)의 <사진의 반대쪽 (The Other Side of the Picture)>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심사위원 특별상에는이소진, 최성훈, 최수지(한국 애니메이션 고등학교)공동연출의 <나무(The Tree)>, 예술실험상에는 이충현(인천 제일고등학교) 감독의 <어린왕자(Le Petit Prince)>, 현실도전상에는 이서희(태원고등학교) 감독의 <용연이(Yong Yeon Ee)>가 차지했다.
부문상으로는 대상을 수상한 <사진의 반대쪽>이 감독상, 매그너스 베텔슨(Magnus Berthelsen) 감독(덴마크)의 <어느 운 좋은 날(A Lucky Day)>이 촬영상, 로라 워터스(Laua Waters)> 감독(아일랜드)의 <스토커(Stalker)>가 편집상을 각각 선정됐다.
청소년 2부의 최우수 작품상인 MBC 사장상은 다니엘 윌트버그(Daniel Wirtberg) 감독(스웨덴)의 <침입자(The Intruder)>이 수상했으며, 심사위원특별상에는 마틴 슈미트(Martin Schmidt) 감독(독일)의 <죠지의 성장기(George Grows)>가 차지했다. 이 밖에 심사위원 언급상으로는 임혜림 감독(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 학과)의 <땡큐남녀부업연구소(No Stranger to Poverty)>와 코바야시 타츠오(Kobayashi Tatsuo) 감독(일본)의 <그곳에서부터(District)>가 선정됐다.
또한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에서 올해 처음으로 운영한 관객심사단이 뽑은 각 섹션별 올해의 영화는 ‘아름다운 청춘’섹션에서는 일마르 라그(Ilmar Raag)감독(에스토니아)의 <클래스(The Class)>, ‘천국의 아이들’섹션에서는 아미르 칸(Aamir Khan)감독(인도)의 <모든 아이들은 특별한 존재이다(Taare Zameen Par)>, ‘낯설지만 괜찮아’섹션에서는 웨이준 첸(Weijun Chen)감독(중국)의 <저를 뽑아주세요(Please Vote for Me)>, ‘한국 성장영화의 발견’섹션에서는 이우열 감독의 <소년감독>, ‘반짝이는 순간들’섹션에서는 디에고 쿠에마다디에즈(Diego Quemada-Diez) 감독(케냐)의 <파일럿이 되고 싶어요(I Want to be a Pilot)>, ‘발칙한 시선’섹션에서는 허승범 감독의 <가면(The Mask)>이 선정됐다.
심사위원장인 임권택 감독은 “출품된 모든 작품들에서 청소년들의 현실에 대한 깊은 문제의식과, 그 문제의식의 영화적 표현을 위한 치열한 고민을 느꼈고, 그 속에서 밝은 영화의 미래를 기대하게 되었다.”며 “현실에 대한 폭넓고 깊은 문제의식과 그것의 영화적 표현을 위한 풍부한 상상력이 최종선정의 기준이었다. 특히, 자신이 잘 알고 있는, 그래서 자신만이 다룰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독창적인 기법으로 풀어낸 작품들이 심사위원 모두의 고른 지지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영화제에서는 다양한 청소년들의 성장영화를 볼 수 있었고, 청소년과 어른과의 만남, 봉준호 감독과 배우 오광록 씨 강연 등 다채로운 행사도 있었다.
다만 씨너스 영화관이 청소년영화제에 맞지 않게 어두웠고, 또 4개관은 지하에 있어 밝은 청소년과는 거리가 있어보였다.
영화관 선정 또한 중요하다고 느낀 점이 이번 씨너스 단성사가 여느 영화관 보다 어두운 느낌이 많이 들었고, 비좁다는 느낌이 많이 들었다.
보다 좋은 미래를 위한 청소년들에게 밝은 영화관도 중요하다고 본다. 올해 보다 더 좋은 내년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를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신길초 앞, 민·관·경 총출동...등굣길 사이버 폭력 예방 캠페인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푸른나무재단은 12일 오전 서울신길초등학교에서 학교폭력·사이버폭력 예방과 안전한 학교문화 조성을 위한 ‘민관 협동 등굣길 캠페인’을 개최했다. 이번 캠페인은 학생들의 등굣길에 학교·지역사회·기업·기관이 함께 참여해, 아이들의 아침 등굣길에 안전한 분위기와 공동체 메시지를 전달하는 실천형 활동이다. 특히 최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새로운 유형의 학교폭력 이슈가 대두되는 가운데, 지역 단위 협력 체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현장형 캠페인으로 기획됐다. 이번 캠페인은 민·관·학·기업이 총결집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 행사이다. 이번 행사에는 학생자치회와 교사를 비롯해 동작구청, 동작경찰서, 동작관악교육지원청, 삼성, 푸른나무재단이 함께해 등굣길 학생들에게 학교폭력 예방 구호와 피켓, 기념품을 전달했다. 행사 참여자 전원은 “도와줘요 힘든 친구 보면! 미소로 함께 우리 약속해요! 솔루션은 우리의 실천! 함께해요 레츠끼릿!”을 외치며 작은 실천이 큰 변화를 만든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이날 강순원 서울시동작관악교육지원청 교육장은 "학교폭력 예방에 관한 지역 단위 협력 체계가 중요하다"며, "지속해서 학교폭력·사이버폭력 예방 캠페인을 확대해 나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신길초 앞, 민·관·경 총출동...등굣길 사이버 폭력 예방 캠페인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푸른나무재단은 12일 오전 서울신길초등학교에서 학교폭력·사이버폭력 예방과 안전한 학교문화 조성을 위한 ‘민관 협동 등굣길 캠페인’을 개최했다. 이번 캠페인은 학생들의 등굣길에 학교·지역사회·기업·기관이 함께 참여해, 아이들의 아침 등굣길에 안전한 분위기와 공동체 메시지를 전달하는 실천형 활동이다. 특히 최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새로운 유형의 학교폭력 이슈가 대두되는 가운데, 지역 단위 협력 체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현장형 캠페인으로 기획됐다. 이번 캠페인은 민·관·학·기업이 총결집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 행사이다. 이번 행사에는 학생자치회와 교사를 비롯해 동작구청, 동작경찰서, 동작관악교육지원청, 삼성, 푸른나무재단이 함께해 등굣길 학생들에게 학교폭력 예방 구호와 피켓, 기념품을 전달했다. 행사 참여자 전원은 “도와줘요 힘든 친구 보면! 미소로 함께 우리 약속해요! 솔루션은 우리의 실천! 함께해요 레츠끼릿!”을 외치며 작은 실천이 큰 변화를 만든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이날 강순원 서울시동작관악교육지원청 교육장은 "학교폭력 예방에 관한 지역 단위 협력 체계가 중요하다"며, "지속해서 학교폭력·사이버폭력 예방 캠페인을 확대해 나

문화

더보기
헬렌 켈러의 삶을 새롭게 재해석한 비언어극 ‘마이 디어, 헬렌’ 공연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부산 극단 ‘배우, 관객 그리고 공간(배·관·공)’이 배리어프리 연극 ‘마이 디어, 헬렌’을 무료로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의 장애인 문화예술 향유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장애인 관객이 차별 없이 공연을 즐길 수 있도록 기획됐다. 공연은 9월 11일부터 21일까지 부산 북구 창조문화활력센터 소극장 624에서 열리며, 러닝타임은 약 55분이다. 전 연령 관람이 가능하다. ‘마이 디어, 헬렌’은 헬렌 켈러의 삶을 새롭게 재해석한 비언어극으로, 언어를 최소화하고 움직임과 몸짓을 중심으로 구성해 청각, 시각, 언어적 제약이 있는 관객도 불편 없이 이해하고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작품은 어린 시절부터 성숙한 사회운동가로서의 삶까지 세 장면으로 펼쳐지며, 장애인 배우가 직접 무대에 올라 비장애인 배우와 호흡을 맞춘다. 자막과 현장 음성 해설을 통해 장애인 관객의 접근성을 높이고, 비장애인 관객에게도 새로운 연극적 체험을 선사한다. 공연 후에는 관객과의 대화가 이어져 창작 과정과 배우들의 이야기를 공유하며 예술의 사회적 의미를 더욱 깊게 나눈다. 이 작품은 2025년 7월 프랑스 아비뇽 오프 페스티벌 공식 초청작으로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