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정치

드디어 열린, 혁신도시로 가는 길②지방분권을 완성시켜라 [양승조 충남지사의 대망]

URL복사

“새로운 대한민국 균형발전시대 220만 충남도민이 완성한다”
22일 동안 목숨 건 단식으로 세종시 지켜낸 의리와 집념의 사나이
“충남 혁신도시 지정 위해 220만 도민과 함께 뛰겠다”
“해양·에너지·농업 등 충남 미래 성장 동력 위한 기관 유치할 것”


[시사뉴스 오승환 기자]

“내일의 충남엔 혁신도시가 있다. 새로운 대한민국 균형발전 시대를 위해 220만 도민과 함께 충남이 선도하고 완성하겠다.”

코로나19사태로 충남지역이 크게 위축된 가운데 도민들 마음에 단비가 내렸다.

충남의 숙원사업, 혁신도시로 가는 길이 열려서다.

『국가균형발전특별법 개정안』(균특법안)이 6일 오후 늦게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혁신도시는 노무현정부에서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을 주도한 사업으로 이전된 공공기관과 지방대학·연구소·산업체·지자체 모두가 협력하는 클러스트 형태의 미래형 도시.

충남이 혁신도시에 지정되면 1등공신은 단연 양승조 충남지사다.

국회의원일 땐 단식투쟁으로 MB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을 포기시켰고, 도지사가 돼선 정부와 정치권 설득을 위해 직접 뛰어다녔다.

2004년 세종시 건립에서 2020년 혁신도시 발판 마련까지 16년간 충남도민만 바라보며 투쟁해 온 이야기를 들어보자.




#“김대중·노무현 대통령이 시작하고 뿌리내린 지방분권 완성시켜야!”

세종시 원안을 지키는 데는 성공했지만 혁신도시 지정은 4선 국회의원도 힘에 부쳤다.

2012년 전국 각지로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이 개시됐지만 충남도민은 가만히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세종시 19개, 광주·전남(16), 부산(13), 강원 (12), 전북(12), 경북(12) 등 국가균형발전이란 미명 아래 공공기관은 전국으로 흩어졌지만 충남은 혁 신도시에 선정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도리어 도태되기만 했다.

이대로 있을 수만은 없을 터.

“충남의 혁신도시 지정을 위해 220만 도민과 함께 뛰겠습니다.”

양 의원은 ‘4선의원’ 명함을 반납하고 직접 실행하기 위해 도지사에 출마했다.

양 의원의 진심과 노력은 통했다.

62.55%라는 압도적인 지지율로 혁신도시를 향한 도민들 열망을 대변했다.

도정에 뛰어든 양 지사는 곧장 국회로 향했다.

국회의원들을 만나 충남의 입장을 전하고 설득했다.

정책토론회도 꾸준히 개최했다.

취임 1년도 채 되지 않아 충청권 4개 시·도지사의 공동건의문을 이끌어냈다.

정책토론회로 정부와 국회를 설득한 양 지사는 박범계, 홍문표, 김종민 의원의 『국가균형발전특별법』 개정안을 이끌어냈다.

지난해 11월 산업통상자원위원회 법안심사 소위를 통과한 법안은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며 마침내 혁신도시 지정의 길을 열었다.

“이번 개정안 통과는 시민의 힘으로 숙원사업을 쟁취한 의미가 깊다. 충남의 미래 100년을 견인해 나갈 새로운 성장 동력이다. 성공적인 모델로 만들어 가겠다.”

본회의 통과를 위해 연일 홍성과 국회를 오가며 사력을 다한 양 지사는 벅찬 감정을 숨기지 않았다.

“내일의 충남엔 충남혁신도시가 있다. 그동안 220만 도민과 함께 달려왔다. 한 사람 한 사람 모두의 힘이 모여 충남의 미래를 새롭게 열게 됐다. 새로운 대한민국 균형발전시대, 충남이 선도하고 충남이 완성할 것.”

양 지사는 한결같은 마음으로 응원해준 충남도민들에 그 영광을 전했다.

“가야 할 길이 더 남았다. 더 빈틈없이 그리고 철저하게 혁신도시 지정까지 이루겠다.” <계속>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