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26 (토)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경제

소니(SONY)가 존경받는 이유① 환경이 먼저다

URL복사

‘전자업계 선구자’에서 ‘친환경 경영 선구자’로.
소니코리아, 외국계 회사 최초 국무총리상 수상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잊어서는 안 될 소중한 가치



[시사뉴스 오승환 기자] 항일 불매운동은 계속되고 있다.

 

유니클로는 연일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고, 일본 맥주는 편의점에서 사라졌다.

 

지난 9월에만 일본산 수입물품이 16%나 감소했고, 일본여행을 가려면 주변 눈치를 살펴야 할 분위기다.

 

일본기업이라는 이유로 무조건 배척해야 할까?

 

잘하는 건 칭찬해야 하고, 본받을 건 본받아야 한다.

 

사회적 책임감이 강한 글로벌기업들 중에 일본계가 적지 않은 것은 약은 오르지만 인정할 수밖에 없는 사실이다.

 

오히려 사회적 책임은 나몰라라 하면서 "No Japan" 열풍의 반사이익에 표정관리나 하고 있는 우리 기업들을 탓할 일이다.

 



소니(SONY), ‘전자업계의 선구자에서 친환경 경영의 선구자.

 

소니가 지속가능한 친환경 경영과 지역공동체를 위한 상생경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을 주도하고 있다.

 

1946년 자본금 1,600달러로 시작한 소니는 일본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브랜드가 됐다.

 

일본을 대표하는 기업이라 오해하기 쉽지만 니콘, 파나소닉과 달리 소니는 전범기업에서도 자유롭다.

 

20세기 후반 전 세계를 휩쓸던 일본 전자산업의 상징은 현재 인공지능, 엔터테인먼트, 금융으로 사업 분야를 확장하고 있다.

 

“Road to ZERO, 환경부하 ‘0’을 향해 행동으로 실천한다.”

 

소니는 2019<Brand Finance>가 선정한 브랜드 가치 평가에서 전 세계 140위에 올랐다. 과거 위상과 비교하면 실망스런 평가일 수 있다.

 

하지만 윤리경영에 대한 사회적 인지도는 놀라운 수준이다.

 

<Reputation Institute>에서 선정한 기업의 국제적 사회적 책임 평판 순위에서는 전 세계 12위에 올랐다.

 

일본의 잃어버린 20’, 지독한 경제위기 속에서도 소니가 전 세계에서 좋은 평판을 쌓아가고 있는 원동력은 무엇일까?

 

소니는 1993소니 환경 기본방침을 제정하고, 2000환경 비전을 발표, 국제적으로 친환경 경영 시스템을 도입했다.

 

“2050년까지 전 세계 소니그룹에서 생산한 모든 제품과 비즈니스 활동에서 지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제로화하는 것.”

 

소니코리아도 그룹의 환경 비전에 앞장서고 있다. 지난해 저탄소 생활실천 국민대회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하기까지 했다. 외국계 기업으로는 최초였다.

 

소니코리아는 1997년 친환경 경영 시스템을 국내 도입해 2001년 외국계 기업 최초로 환경경영 국제표준인 ISO14001 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친환경경영 시스템뿐 아니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서도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2001년부터 국내 초··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에코스쿨’, ‘에코캠프’, ‘에코사이언스스쿨등 환경행사를 지속적으로 진행해 왔으며, 자원봉사 프로그램 ‘SomeOne Needs You(누군가 당신을 필요로 한다)’를 통해 직원들의 지역사회 봉사 활동을 의무화했다.

 


“For the next generation(다음 세대를 위해)!”

 

소니의 친환경경영 시스템은 무엇보다 지속성에 그 가치가 있다.

 

단기적인 후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10, 20년 나아가 다음 세대를 위한 경영 마인드로 꾸준히 진행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앞으로도 환경보호 활동을 강화하고, 더욱 적극적으로 친환경경영을 실천하겠다.”

 

지난해 선임된 오쿠라 키쿠오 소니코리아 대표는 본사 글로벌 환경 프로젝트인 로드 투 제로(Road to Zero)’에 적극 동참해 친환경 활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소니는 일본기업이다.

 

하지만 어떤 국내 기업보다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 평판 순위에서 삼성전자(브랜드 가치 5)90위로 밀려나 있다는 건 부끄러운 일이다.

 

혹시 우리가 일본과의 무역전쟁에서 훨씬 더 중요한 가치를 놓치고 있는 것은 아닐까?



<계속>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페스트북은 정일남 작가의 소설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 격동기를 살아낸 한민족의 이야기’를 올해의 추천 도서로 선정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강제 노역과 해방을 거치며 한반도를 휘몰아친 격동의 역사를 평범한 민초의 삶을 통해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정일남 작가는 노스텍사스대학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평생을 화학 연구자로 살았다. 정년 퇴임 이후에는 벤처기업 JSI실리콘을 설립했다. 그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발전이 결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님을, 개개인의 수많은 노력과 희생 위에 세워진 것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또한 지나온 역사 속에서 미처 깨닫지 못했거나 바로잡아야 할 부분들을 함께 성찰하고, 어떤 마음가짐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할지 고민하는 작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출간 소감을 전했다. 페스트북 편집부는 ‘반갑다, 지리산 무지개여!’는 위대한 영웅이 아닌 지리산 부근에 사는 한 가족의 삶을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 100년을 통찰하는 소설로, 그들의 삶과 슬픔, 저항을 날 것의 모습 그대로 꾹꾹 눌러 담았다며, 강제 노역과 전쟁, 분단의 파고를 지나야 했던 사람들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