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05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경제

KT&G 세계화 앞으로

URL복사
국내·외 관심집중
KT&G가 곽영균 마케팅본부장(전무이사·53)을 신임사장으로 맞이하면서 본격적인 민영화다지기에 나섰다.

KT&G는 지난 97년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정부가 추진한 공기업 민영화 정책으로 인해 2002년 말 새롭게 변화된 모습으로 국민들에게 다가선후 재무건전성 등에 있어 눈에 띄게 달라지고 있다.

이러한 KT&G가 마케팅본부장 출신인 곽영균 씨를 제2기 민영화 선장으로 발탁한데는 그의 동물적인 마케팅감각을 살린 KT&G의 글로벌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쉽게 감지할 수 있다.

이에따라 KT&G의 내부에서 뿐 아니라 유사업종의 해외관계자들까지도 향후 변화될 KT&G의 모습에 비상한 관심을 갖고 있으며 이를 예견이라도 한 듯 곽영균 신임사장의 행보가 긴장의 끈을 누추지 않고 있다.

KT&G가 변화하고 있다.

마케팅 일선 등장 후 ‘재무제표’ 안정

곽영균 사장이 KT&G의 제2호 민영화선장으로 발탁된 것에 대해 내·외적으로 무난하다는 평이 지배적으로 나오고 있으며 이러한 분위기는 이력을 들여다보면 일반인들도 바로 납득할 수 있는 대목이다. 곽 사장은 경기고와 서울대 무역학과를 졸업한 후 (주)삼미에 첫 발을 들여놓게 된다. 삼미의 해외사업부분에서 오랜 경험을 쌓은 곽 사장은 1994년 43세의 나이로 이사진에 오르면서 본격적인 경영자 수업을 시작했다. 1997년 외환위기로 인한 경영악화와 해외시장부분을 강화하기 위한 담배인삼공사(KT&G 전신)의 권유를 받고 해외사업본부장으로서 그 역량을 키워나갔다.

KT&G는 1998년 2조8,814억원에 달했던 자본이 매년 줄어 2002년 1조9,847억원까지 떨어졌다. 그 해 12월 민영화로 이어지면서 발생된 일이라 KT&G의 심리적 압박이 상당했다. 매출 성적표 또한 매년 10% 안팎을 성장하는데 그쳤다. 그의 효과가 표면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 마케팅본부장으로 자리를 옮기면서부터다. 4조원대의 매출액이 1년새 20%가량 늘어난 5조5,568억원을 기록했고 손익도 3,000억원대에서 4,597억원으로 급증했다. 계속되던 자본감소도 지난해 2조1.825억원으로 2년만에 2조원대로 복귀했다.






“민영화 특성 살린 경영 패러다임 전환”


KT&G 신임 곽영균사장은 지난 3월 18일 대전 본사에서 열린 주주총회에서 “유구한 역사와 저력을 가진 KT&G의 CEO로 선택된 것이 영광스럽다”며”국영기업의 민영화에 걸맞게 외압적인 낙하산 인사 없이 내부에서 3대에 걸쳐 최고경영자가 탄생하는 전통을 이어 받았다는데 더욱 자부심을 느낀다”고 선임소감을 피력했다. 곽 사장은 이어 “담배인삼공사 시절부터 쌓아온 노하우와 능력을 최대한 발휘해 민영화의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하는 경쟁패러다임의 전환 등으로 인해 투자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불확실한 기업환경에서 오는 위기요인을 미리 차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함께 곽 사장은 “KT&G가 지금처럼 지속적인 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신뢰와 화합의 경영' ‘계층·부서간 벽이 없는 경영' ‘자율과 책임원칙의 정착' 등 3가지 경영기본원칙을 얼마나 성실하게 지켜나가는지가 최대 관건”이라며”이를 위해 개인적으로 터득한 경영 노하우 등을 총동원 할 것”이라고 말하는 등 자신의 경영철학을 소개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양곡관리법·농안법, 국회 본회의 통과...농안법도 국회 본회의서 가결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석열 前대통령 1호 거부권' '양곡관리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과잉 생산된 쌀을 매입하는 내용의 '양곡관리법' 개정안과 농수산물 시장 가격이 기준 가격 미만으로 하락할 경우 차액을 지원하는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농안법)' 개정안이 4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국회는 이날 본회의를 열고 양곡관리법 개정안을 찬성 199표, 반대 15표, 기권 22표로 가결했다. 쌀값이 급락한 경우 초과 생산량을 의무적으로 매입하도록 규정한 양곡관리법 개정안은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추진됐다가 윤석열 정부 당시 거부권이 처음 행사돼 폐기된 바 있다. 민주당이 재추진한 이번 개정안의 수정안에서 여야는 사전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통한 수급 조절, 당해년도 생산 쌀에 대한 선제적 수급조절 및 수요공급 일치, 쌀 초과 생산 및 가격 폭락 시 수급조절위원회가 매입 관련 심사 등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농수산물 시장가격이 기준 가격 미만으로 하락할 경우 차액을 지원하는 내용의 농안법도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표결 결과 찬성 205표, 반대 13표, 기권 19표가 나왔다. 농안법 개정안은 국내 수요보다 농수산물이 초과 생산되지

경제

더보기
IBK기업은행, 창립 64주년 기념식 개최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IBK기업은행은 1일 창립 64주년을 맞아 서울 중구 기업은행 본점에서 임직원 약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립 64주년 기념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날 김성태 은행장은 중소기업을 향한 사명감과 진심을 원동력으로 성장해 온 기업은행의 역사를 돌아보며 글로벌 초일류 금융그룹으로 도약하기 위한 도전과제를 밝혔다. 김 행장은 “특히 올해 전례 없는 각종 위기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정책금융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면서, 미국 발 관세위기 등 대내외 위기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인 중기대출 지원으로 중기금융 역대 최대 점유비를 달성하는 한편, 소상공인의 금융비용 부담을 완화하고 상생금융을 적극 실천한 직원들의 노고를 치하했다. 아울러 ‘하남데이터센터 이전’과 ‘나라사랑카드 3기 사업 유치’ 등 미래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사업자등록 원스톱 서비스’, ‘AI 기술을 활용한 보이스피싱 탐지기술 도입’ 등을 통해 고객가치를 최우선하며 사회적 책임을 다한 것도 그간의 주요 성과로 꼽았다. 이어 “불확실성의 위기가 심화할수록 변하지 않는 가치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고객을 향한 진실 되고 선한 마음으로 고객의 가치를 높이는 혁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의대생 전공의 복귀하려면 무조건 사과부터 해야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지난 14일 전격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17개월 만에 의정 갈등이 마침표를 찍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복귀자들에 대한 학사일정조정, 병역특례, 전공의 시험 추가 응시기회 부여 등 특혜 시비를 슬기롭게 해결하지 못하면 의정갈등의 불씨는 계속 남아있게 된다. 새로운 정부가 들어서면서 1년5개월 만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 있는 의정 갈등의 해법은 의대생, 전공의들이 무조건 국민과 환자들에게 의정 갈등으로 인한 진료 공백 사태에 대해 사과부터 하고 그 다음 복귀 조건을 제시하는 수순을 밟는 것이다. 지난해 2월부터 발생한 의정 갈등은 정부가 고령화 시대 의료 수요 증가와 지역·필수의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과 지역의료 강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등을 묶어 필수 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을 강행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의료계는 이에 대해 의사 수 부족이 아닌 ‘인력 배치’의 불균형 문제이며, 의료개혁이 충분한 협의 없이 졸속으로 추진되었다고 반발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의료계는 의사 수 증가가 오히려 과잉 진료와 의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