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9.07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경제

롯데마트, 엘페이X한국카카오은행 계좌이체 결제 이벤트 진행

URL복사

내년 7월29일까지 엘페이와 카카오뱅크 계좌 연동 결제 시 엘포인트 추가 2% 적립



[시사뉴스 김수정 기자] 롯데마트가 엘페이(L.pay)와 한국카카오은행(이하 카카오뱅크)의 계좌 연동을 통해 온·오프라인에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는 ‘계좌이체 결제’ 이벤트를 진행한다.

롯데마트는 오는 13일부터 내년 7월29일까지 롯데마트 오프라인 매장에서 카카오뱅크와 연동된 엘페이를 통해 직불 결제를 진행한 고객을 대상으로 추가로 엘포인트 2%를 적립해 준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엘포인트 추가 적립 이벤트는 전월 실적이나 한도, 결제금액 등과 관계 없이 모든 결제 고객이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13일부터 26일까지 2주 동안은 3만원 이상 결제 시 신라면(5입)을 무료로 증정한다

정원헌 롯데마트 마케팅부문장은 “고객들에게 편리한 쇼핑 환경을 제공하고 엘포인트 자동 적립 및 소득공제 혜택을 주기 때문, 고객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엘페이의 계좌이체 결제 서비스는 고객의 은행 계좌를 엘페이에 등록한 후, 온·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직불 결제로 결제하면, 등록된 계좌 잔액 한도 내에서 결제 금액이 인출돼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없이도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다.

또한 엘페이는 유통업계 최초 엘 포인트(L.point), 모바일 캐시비 등 선불 결제는 물론, 롯데, 신한, 국민 등 국내 주요 8개 카드사의 신용·체크 카드 및 국내 유수의 금융기관(우리, BNK부산, NH농협, KB국민, 신한, KEB하나, IBK기업, SC제일, CITI, DGB대구, BNK경남, MG새마을금고, KDB산업, 제주, 신협, 전북, 광주, SH수협 등) 계좌를 연계한 직불 결제 등 다양한 방식의 결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
나와 타인을 이해하는 심리적 안내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좋은땅출판사가 ‘에니어그램 명상상담 전략’을 펴냈다. 이 책은 현대인이 겪는 심리적 불안과 대인관계의 갈등을 다루며, 아홉 가지 성격 유형을 통해 자기 이해와 관계 회복의 길을 안내하는 심리 지침서다. 저자는 에니어그램 이론에 명상상담을 결합해 각 유형의 특성과 패턴을 드러내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한다. 단순히 성격을 분류하는 데 그치지 않고, 어린 시절의 경험과 현재의 관계 문제를 연결해 설명함으로써 독자가 자기 성찰의 깊이를 더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저자 김문자는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명상심리상담학과에서 상담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대학교 상담심리센터 객원 상담사를 역임한 바 있다. 현재는 명상에니어그램 교육원 원장으로 활동하며 명상과 심리상담을 접목한 다양한 연구와 실천을 이어가고 있다. 저자는 ‘명상상담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영상관법이 분노 감소에 미치는 영향’, ‘에니어그램 명상상담 단일사례연구’ 등 여러 논문을 통해 그 효과를 입증해 온 학자이자 상담 전문가다. ‘에니어그램 명상상담 전략’은 명상이 내면의 불안을 직면하게 하고, 에니어그램이 그 불안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생성형 AI 활용…결국 사용자의 활용 능력과 방법에 달려 있다
지난 2022년 인공지능 전문 기업인 오픈AI에서 개발한 챗GPT를 비롯해 구글의 Gemini(제미나이), 중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딥시크, 한국의 AI기업에서 개발한 뤼튼,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계 미국기업이 개발한 젠스파크 등 생성형 AI 활용시대가 열리면서 연령층에 상관없이 생성형 AI 활용 열기가 뜨겁다. 몇 시간에서 며칠이 걸려야 할 수 있는 글쓰기, 자료정리, 자료검색, 보고서, 제안서 작성 등이 내용에 따라 10초~1시간이면 뚝딱이니 한번 사용해 본 사람들은 완전 AI 마니아가 되어 모든 것을 AI로 해결하려 한다, 이미 65세를 넘어 70세를 바라보는 필자는 아직도 대학에서 3학점 학점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2일 개강 첫날 학생들에게 한 학기 동안 글쓰기 과제물을 10회 정도 제출해야 하는데 생성형 AI를 활용해도 좋으나 그대로 퍼오는 것은 안 된다는 지침을 주었다. 그러면서 “교수님이 그대로 퍼오는지 여부를 체크 할수 있다”고 큰소리를 쳤다. 큰소리가 아니라 지난 학기에도 실제 그렇게 점검하고 체크해서 활용 정도에 따라 차등 평가를 실시했다. 이렇게 차등 평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은 필자가 생성형 AI 활용 경험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