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3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신라면세점, 휴가철 맞아 풍성한 이벤트 진행

URL복사

인터넷면세점, 선착순 5000명에 ‘라라캐시’ 증정
8월31일까지 ‘슈에무라’ 신제품 단독 판매
인천공항 제2터미널점 ‘입생로랑’ 팝업스토어 오픈


[시사뉴스 조아라 기자] 신라면세점이 내국인 고객이 증가하는 여름 휴가철을 맞아 캐시 증정 및 할인을 비롯해,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한 단독 혜택 강화 등 다채로운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6일 밝혔다.


이번에 진행되는 이벤트는 △선착순 5000명에게 라라캐시를 증정하는 ‘라라위크’ △신라인터넷면세점 할인 △중복 할인 가능한 제휴사 ‘특정일 할인’ △’슈에무라’ 신제품 단독 판매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입생로랑’ 팝업스토어 등이다.


신라인터넷면세점은 이달 6일부터 10일까지 5일간 매일 오전 11시부터 선착순 5000명에게 ‘라라캐시’를 증정하는 ‘라라위크’를 진행한다. 라라캐시는 신라인터넷면세점이 지난달 도입한 고객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5가지 맞춤형 멤버십 서비스 ‘라라클럽’의 혜택 중 하나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할인 수단이다.


또, 신라인터넷면세점은 오는 15일까지 수입 화장품, 국내 화장품, 패션잡화 등을 할인하는 ‘夏!夏!夏!(하하하) 세일’을 진행한다. 제휴사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특정일 할인 데이’를 활용하면 면세점 적립금, 선불카드, 라라캐시 등의 할인 수단에 추가로 할인을 받을 수 있다.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한 단독 혜택도 강화했다. 신라면세점은 글로벌 코스메틱 브랜드 ‘슈에무라’의 신제품 ‘안티/옥시 클래리파잉 젠틀 클렌징 오일 인 워터’를 31일까지 아시아태평양 지역 면세점 중 단독으로 국내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한다. 신라면세점은 최근 ‘라프레리’, ‘크리니크’ 등 유명 화장품 브랜드와 협업해 단독 판매 상품을 늘리고 있다.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점에서는 31일까지 프랑스의 대표 코스메틱 브랜드 ‘입생로랑(YSL)’ 팝업 매장을 운영한다. 팝업 매장은 지난 1월 신라면세점 인천공항 제2터미널점이 영업을 시작하면서 처음 선보인 매장으로, 고객에게 인기 있는 브랜드를 선별해 일정 기간 단독으로 운영하며 특별 혜택을 선보이고 있다. 유명 화장품 브랜드 ‘맥’과 협업해 처음 팝업 매장을 선보였으며 ‘입생로랑’은 두 번째 협업 브랜드다.


아울러 ‘입생로랑’ 팝업 매장에서는 ‘몽 파리(Mon Paris)’ 향수 구매 고객에게 원하는 문구를 제품에 새겨주는 각인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한다. 또한 팝업 매장에서 제품을 구매한 모든 고객에게는 ‘몽파리’ 향수 미니어처를 증정하고, 150달러 이상 구매 고객에게는 미니 틴트, 마스카라, 폼 클렌저가 들어있는 파우치를 증정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