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03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

더 플라자 “거리응원 보며 월드컵 즐기세요”

URL복사

14일부터 7월15일까지 ‘어게인 2002’ 프로모션 진행


[시사뉴스 조아라 기자] 한화호텔앤드리조트에서 운영하는 호텔 더 플라자가 축구 축제 열기를 느낄 수 있는 ‘어게인 2002(Again 2002)’ 프로모션을 한시적으로 선보인다고 밝혔다.


월드컵 공식 스폰서 버드와이저와 함께하는 이번 프로모션은 거리 응원의 랜드마크인 서울 시청광장이 한 눈에 보이는 뷔페 레스토랑과 라운지 등에서 오는 14일부터 진행된다. 호텔 관계자는 “월드컵 기간 동안 호텔을 이용하는 국내외 고객 대부분이 월드컵 거리 응원에 대해 문의하면서 시청광장이 잘 보이는 객실과 레스토랑을 선택한다”며 “이미 예약한 고객 중에도 거리 응원의 장관을 보기 위해 객실 혹은 레스토랑 테이블 위치를 바꿔달라는 요청이 쇄도한다”고 말했다. 


‘어게인 2002’ 프로모션은 ‘도심 속 특급호텔에서 프라이빗하게 즐기는 거리응원의 열기’를 부제로 하며, 호텔 셰프가 만든 다양한 음식과 함께 버드와이저 생맥주를 무제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버라이어티 다이닝 뷔페 레스토랑으로 새롭게 태어난 세븐스퀘어에서는 한국 축구 대표팀의 상대국인 스웨덴, 멕시코, 독일의 대표 메뉴를 무제한으로 즐길 수 있는 프로모션을 7월15일까지 진행한다. 한국전 경기가 예정된 6월18·23·27일에는 경기시간에 맞춰 실내 중계와 함께 스페셜 BBQ 뷔페를 진행한다.


스타일리시 카페&바 더라운지에서는 한국전 경기에 예정된 3일간 경기 중계와 함께 파티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세트 메뉴를 선보인다.  함께 응원하는 인원에 따라 호텔 바텐더가 선정한 샴페인과 맥켈란 등의 주류와 셰프가 구성한 특별 메뉴를 세트로 즐길 수 있으며, 추가로 버드와이저 생맥주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다.


호텔 관계자는 “더 플라자는 서울 중심부에 위치해 대국민 거리응원을 편안하게 볼 수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며 “이번 ‘어게인 2002’ 프로모션은 호텔 셰프가 만든 세계 각국의 음식과 함께 ‘2018 러시아 월드컵’ 공식 스폰서 버드와이저를 무제한으로 즐기며 한국 축구 대표팀의 선정을 기원하고 싶은 많은 축구팬에게 절대 놓칠 수 없는 기회”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호중 행안장관 "중요 정보시스템 이중화, 예산 7천억~1조 소요 예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자원 현안질의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에서 관리하는 주요 핵심 정보시스템들을 양쪽 센터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방식으로 이중화할 경우 7000억원에서 1조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지금 파악하기로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정보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말했다. 이어 "공주센터까지 포함하면 (예산이) 1조원이 넘는다"고 덧붙였다. 액티브-액티브는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서비스를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체계로, 두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구조다. 정부는 정보시스템을 중요도에 따라 1~4등급으로 나눠 관리하고 있다. 1등급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보시스템으로, 정부24 등이 포함돼있다. 윤 장관은 이 방식이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민간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등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보겠다고 했다. 윤 장관은 "보안 문제나 이런 문제를 해결한다면 민간 자원을 리스(임차) 형태로 활용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며 "로드맵을 마련하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