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20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제

GS건설, 5~6월 경기·인천·부산 등 총 4개 지역서 7866가구 분양

URL복사

[시사뉴스 유명환 기자] GS건설은 5~6월에 총 8개 프로젝트 7866가구(일반 6712가구)를 분양할 예정이라고 9일 밝혔다.

먼저 이달 경기, 인천, 부산 지역에서 총 4개 프로젝트 5293가구(일반 4976가구) 자이 아파트가 공급된다.

GS건설은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2지구 일대에 3000여 가구가 넘는 자이 타운을 조성 중이다. 지난해 11월 분양된 동천자이 1차 1437가구에 이어 동천2지구 A-2블록에 지하 3층~지상 36층, 8개동, 전용면적 59~104㎡, 1057가구의 동천자이 2차를 선보인다.

경기도 평택시 동삭2지구에서는 지하 2층~지상 29층, 22개동, 전용면적 59~123㎡으로 구성된 자이더익스프레스 3차 2324가구를 공급한다.

인천에서는 인천경제자유구역 영종하늘도시에 스카이시티자이 1034가구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31층, 10개동, 전용면적 91~112㎡, 총 1034가구로 실속형 준중대형으로 구성됐다.

내달에는 서울 도시정비사업 2곳과 경기도 화성, 경남 김해 등 4개 프로젝트 2573가구 (일반 1736가구)의 자이 아파트가 공급된다.

서울 은평구 응암3구역을 재개발한 백련산파크자이는 지하 4층~지상 20층, 9개동, 678가구 규모로 이 중 292가구가 일반에 분양된다. 또한 서울 동대문구 답십동 25번지 일원 답십리14구역을 재개발한 답십리파크자이 역시 6월 분양된다. 지하 2층~지상 20층, 9개동, 전용면적 49~84㎡, 총 802가구 중 일반 분양은 351가구다.

경기도 화성시 능동지구에서는 지난해 1차 982가구를 공급한 신동탄파크자이 2차 376가구가 공급된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1층, 5개동으로 전 주택형이 전용면적 84㎡ 단일 평형으로 구성됐다.

동탄신도시 생활권인 경남 김해 원메이져 프로젝트는 지하 2층~지상 25층, 27개동, 전용면적 59~119㎡, 총 2391가구 규모로 현대건설·GS건설·대우건설 등이 컨소시엄으로 진행한다.

김민종 GS건설 건축분양관리팀장은 “올 상반기에 총 14개 프로젝트 1만2000여 가구의 자이 아파트를 공급할 예정”이라며 “성공적인 분양으로 올해 계획한 물량 2만여 가구를 공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키타무라 아사미·백승우, 듀오 리사이틀 ‘Dialog’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을 기념하는 듀오 리사이틀 ‘Dialog’가 오는 11월 15일(토) 오후 3시 서울 일신홀에서 열린다. 이번 공연에서는 일본 피아니스트 키타무라 아사미와 한국 피아니스트 백승우가 처음으로 함께 무대에 올라 특별한 음악적 순간을 선사한다. 이 리사이틀은 두 아티스트가 하나의 피아노 앞에서 호흡을 맞추며 존중과 배려의 조화를 이루는 ‘대화’의 장이 될 예정이다. 공연 중간에는 두 피아니스트가 관객과 직접 소통하는 ‘Dialog’ 코너도 마련돼 부부이자 동료로서의 그간의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갖는다. 서로 다른 음악적 환경에서 배운 점과 공감의 순간들을 공유하며, 연습실의 작은 일화부터 무대에서의 특별한 경험까지, 두 사람의 이야기는 음악 속에서 서로를 이해하고 함께 다듬어온 시간을 담고 있다. 이번 무대는 두 나라의 음악가가 피아노를 통해 ‘공감과 대화’를 이어가며 앞으로의 문화교류가 더욱 깊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을 전한다. 프로그램은 글린카의 ‘루슬란과 루드밀라 서곡’, 슈베르트의 ‘네 손을 위한 환상곡 F단조’, 일본 작곡가 사사키 쿠니오의 ‘Ocean Beat’, 라흐마니노프의 ‘6개의 소품, Op.11’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