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19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MLB]"돈보다 꿈" 행동으로 보인 이대호

URL복사

[시사뉴스 김기철 기자] '빅보이' 이대호(34)가 "돈 보다는 꿈이 우선"이라는 신념을 행동으로 보였다.

시애틀 구단은 4일(한국시간) 이대호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고, 그를 포수 스티브 레루드와 함께 메이저리그 스프링캠프에 초청 선수로 합류시킨다고 발표했다.

세간의 기대와 다르게 계약 자체는 초라하기 그지없다. 마이너리그 계약이며 주전으로 활약한다고 해도 최대 400만 달러(약 48억원)밖에 받지 못한다.

지난해 이대호가 일본프로야구 소프트뱅크 호크스에서 받은 연봉은 5억엔(약 50억9000만원)이다. 일본 무대 외국인 최고 연봉자였다. 그는 일본시리즈 최우수선수(MVP)에 오르며 몸값을 했다.

이에 소프트뱅크는 이대호를 잡기 위해 적극적인 러브콜을 보냈다. 오 사다하루 구단 회장까지 나섰을 정도다. 일본언론들이 밝힌 소프트뱅크의 제안은 3년 18억엔이었다.

파격적인 제안에도 불구하고 이대호는 애초에 "미국 진출을 우선으로 진행하고 있다. 메이저리그에 갈 수 있다고 생각하고 가야 한다"며 잔류 가능성에 선을 그었다.

그러나 해가 넘어가고 1월이 다 흘러가도록 이대호의 계약 소식은 들려오지 않았다. 유력한 계약 파트너로 꼽혀왔던 팀들이 1루수를 속속들이 영입하면서 이대호의 계약도 '물 건너 간'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난무했다.

소프트뱅크는 이대호에게 "잔류 가능 기한은 1월말까지"라며 언론을 통해 압박을 했다. 일본매체들은 이대호가 원하는 계약조건을 찾지 못해 다시 소프트뱅크로 돌아올 확률이 높다는 분석을 쏟아냈다.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미국에서 친정팀 롯데 자이언츠와 묵묵히 훈련을 하던 이대호는 한국과 일본에 '깜짝' 계약 소식을 전했다.

돈만 보면 이해하기 힘든 선택이다. 더욱이 마이너 계약이다. 이대호는 마이너리그 계약은 절대로 맺지 않겠다는 단호한 입장을 밝혔지만 도전을 위해 한 발 물러섰다.

그만큼 이대호의 메이저리그 도전에 대한 열망은 강했다.

단순히 빅리그의 땅을 밟아보고 싶다는 호기심의 수준이 아니다. 이대호는 1년짜리 마이너 계약이라도 맺은 후 실력으로 가치를 증명해내겠다는 심산이다. 주전경쟁을 넘어 성적을 낸 후 1년 뒤 대박 계약을 노린다.

낙관적인 시나리오처럼 보일 수 있겠지만 이대호이기에 기대가 된다.

이대호는 2011년 시즌을 마치고 일본 무대 진출을 선언했다. 롯데는 이대호에게 4년 총액 100억원 계약을 제시했다. 4년이 지나 자유계약선수(FA)들의 몸값이 폭등한 지금도 총액 100억원에 도달한 선수는 없다.

그때도 이대호는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도전을 택했다. 나이를 먹어가면서도 녹슬지 않은 실력을 뽐내며 자신의 가치를 끌어올렸다.

이제 이대호는 일본무대보다 더 큰 빅리그에 도전한다. 그때보다 상황이 어렵다. 우선 백업 경쟁에서 이겨내야 하고, 주전 1루수 아담 린드와도 자웅을 겨뤄야 한다.

뚝심으로 자신의 신념을 지켜왔던 이대호가 다시 한 번 목표를 이룰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요양병원 간병비 급여화 추진…지역의사제 도입과 공공의대 설립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정부가 요양병원 환자의 간병비에 건강보험을 단계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지역·필수의료 강화를 위해 지역의사제를 도입하고 공공의료사관학교도 설립한다. 김혜진 보건복지부 기획조정실장은 지난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주요 업무 추진 현황을 보고했다. 김 실장은 "의료비 부담 완화를 위해 의료 역량이 높은 요양병원을 중심으로 단계적 간병비 급여를 추진하겠다"며 "과잉 의료 비급여에 가격 급여 기준을 설정해 비급여 관리를 강화하고, 희귀 난치 질환에 대한 산정특례 적용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일차의료 및 건강관리 체계 강화를 위해 지역사회 주치의 모델과 방문진료 시범사업을 확대하겠다"며 "사회적 합의에 기반해 비대면 진료를 제도화하고 공적 전자처방전자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했다. 지역의사제 도입과 공공의대 설립 방침도 밝혔다. 김 실장은 "지역 필수 공공의료 강화를 위해 국립대병원을 보건복지부로 이관해 지역 거점 병원으로 육성하고, 지역 수가와 지역 필수의료기금도 신설하겠다"며 "지역의사제를 도입하고 공공의료 사관학교를 설립해 안정적인 공공의료 양성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정신질환 치료 인프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