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반도체칩 테스트 전문기업 아이텍은 해외 팹리스 고객사 확보를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고 20일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아이텍은 초미세선단공정에서 양산되는 AI(인공지능)와 차량용 5나노 이하 반도체를 테스트할 수 있는 고사양의 장비를 도입해 국내뿐만 아니라 시장 규모가 큰 해외 팹리스 기업 대상으로 테스트 물량을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차별화된 프로그래밍 기술력을 기반으로 일본 팹리스 기업들과 본격적으로 협업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아이텍 관계자는 "고사양 반도체 테스트 장비 도입과 함께 자체 기술력을 확보해 고성능 반도체 테스트 물량을 빠르고 정확하기 소화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됐다"며 "중국, 대만, 미국, 일본 등 규모 있는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해 퀀텀점프를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20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797.33)보다 4.77포인트( 0.17%) 오른 2802.10에 개장했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861.17)보다 0.27포인트(0.20%) 상승한 861.44에 거래를 시작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381.8원)보다 0.7원 오른 1382.5원에 출발했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에스피소프트는 마이크로소프트(MS)의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코파일럿'에 대한 AI(인공지능) 세미나가 큰 호응을 얻어 추가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19일 밝혔다. 회사 측에 따르면 에스피소프트와 MS의 2차 AI 세미나는 이날 진행된다. 두 회사는 세미나와 적극적인 영업을 이어나가 코파일럿 제품의 국내 기업 도입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코파일럿은 오픈AI의 GPT-4를 적용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다. 최신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해 사용자의 업무 효율성, 생산성 향상이 가능하며 자연어 처리 기술을 기반으로 응답 정확도를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MS 오피스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문서 작성, 데이터 분석이 가능할 뿐 아니라 프로그래밍과 회의, 이메일 관리 등 다양한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에스피소프트는 MS와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국내 기업의 코파일럿 도입 확산을 위해 고객 맞춤형 AI 학습 데이터 플랫폼 구축 등 운영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에스피소프트는 MS의 주요 SPLA(외부사용자 라이선스) 지위를 보유하고 있다. 국내 MS SPLA 라이선스 시장 점유율은 70%에 달한다. 에스피소프트 관계자는 "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19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763.92)보다 22.24포인트(0.80%) 오른 2786.16에 개장했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858.95)보다 1.71포인트(0.20%) 상승한 860.66에 거래를 시작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381.1원)보다 1.6원 내린 1379.5원에 출발했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4월 전국 부동산 매매시장의 거래량과 거래금액이 모두 소폭 하락한 가운데 서울만 '나홀로' 거래량 상승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플래닛은 18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6월3일 기준)를 기반으로 분석한 2024년 4월 전국 부동산 유형별 매매시장 동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에서 4월 한달 간 발생한 부동산 매매거래량은 총 9만4585건으로 3월(9만7642건) 보다 3.1% 감소했다. 거래금액도 31조5369억원에서 4.1% 감소한 30조 2426억원으로 나타났다. 거래량과 거래금액 모두 직전월보다 감소했지만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거래량은 2.9%(9만1919건), 거래금액은 6%(28조5387억원) 오른 수준이다. 특히 4월 아파트 거래건수는 직전월(3만9467건)보다 6.2% 줄어든 3만7013건을 기록했다. 거래금액은 16조1613억원으로 전월(16조2861억원)에 비해 0.8% 하락했다. 다만 전년 동월(3만3282건, 13조4993억원) 대비해서는 11.2%, 19.7% 상승한 수치다. 시도별로 보면, 서울의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4250건으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직전월(4075건) 대비 4.3%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LS머트리얼즈의 6개월 보호예수(7.31%·494만주)물량이 해제된 가운데 2대주주 케이스톤파트너스가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을 통한 엑시트(자금 회수)에 나서면서 주가 향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기습 발표한 블록딜 물량이 당일 쏟아지면서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한 데다 대규모 공매도가 발생해 주가에 하방 압력을 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4일 LS머트리얼즈는 케이스톤파트너스가 운영하는 케이브이일호투자유한회사, 케이유투자 유한회사, 케이유이호투자 유한회사가 블록딜을 실시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지난 12일 의무보호예수 기간(6개월)이 해제된 이후 이뤄졌다. 케이스톤파트너스는 총 3.7%(251만주)를 2만6350원에 블록딜로 처분해 약 661억원을 현금화했다. 관련 공시가 지난 14일 장 마감 후 나온 것을 감안하면 블록딜은 장전에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통상 장전 블록딜은 전날 종가를 기준으로 할인율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아 할인율은 약 7%대로 추정된다. 다만 LS머트리얼즈는 개장하자 마자 기다렸다는 듯이 블록딜 물량이 시장에 쏟아지면서 주가가 급락했다. 이날 투신에서만 240만주(약 63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SK증권은 18일 크래프톤 2분기 실적은 높아진 눈높이에 부응한다고 관측했다. 목표주가는 33만원, '매수'의견을 유지했다. 남효지 SK증권 연구원은 "크래프톤은 2분기에는 높아진 눈높이에 부합하는 실적을 기록할 것"이라며 "PC매출은 4월 두카티, 6월 뉴진스 콜라보 효과가 반영되고 되고 개발 인력 중심 채용으로 인건비 증가, 2분기부터 신작 관련 마케팅이 진행되며 마케팅비 집행, 이스포츠 외주 비용 증가를 반영해 영업비용은 32.8%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2분기는 매출액 5221억원, 영업이익 1826억원을 관측했다. 이어 "3분기 차량 콜라보, 4분기 추가 콘텐츠 업데이트로 하반기에도 높아진 트래픽 수준이 지속 유지될 수 있을 것"이라며 "BGMI는 적극적 마케팅과 현지화 콘텐츠 강화로 모바일 매출 비중은 지속 상승하고 배틀로얄 플레이 타임이 늘고 있는 만큼 엔진 업그레이드 작업을 통해 비주얼 퀄리티 상승 등으로 수명이 길어질 것이다"라고 봤다. 올해 영업이익은 8928억원으로 예상했다. 크래프톤은 견조한 실적에 대해 신작 정보도 구체화된다고 봤다. 남 연구원은 "다크앤다커 모바일은 8월 한국, 미국, 일본, 터키 등 글로벌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17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758.42)보다 3.59포인트(0.13%) 내린 2754.83에 개장했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862.19)보다 2.06포인트(0.24%) 하락한 860.13에 거래를 시작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379.3원)보다 3.7원 오른 1383.0원에 출발했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코스피 상장사 인스코비는 한국산업단지공단 스마트에너지플랫폼 국책사업에 참여해 군산국가산업단지 내 50개 공장에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FEMS) 구축을 완료했다고 17일 밝혔다. 인스코비는 연내 추가로 20개 공장에 FEMS를 설치할 방침이다. 인스코비에 따르면 회사는 기존 주사업이던 원격검침인프라(AMI)를 기반으로 '에너지 관리 시스템(xEMS)'으로 비즈니스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xEMS는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공장, 빌딩, 가정 등의 에너지 사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생산 원가를 절감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이다. 인스코비는 AMI 기술을 활용해 에너지 계측 인프라와 더불어 비효율적인 제어·노후 설비를 개선해 FEMS를 구축하면 기존 대비 약 7%의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인스코비는 xEMS를 통해 공장 에너지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에너지 절감과 탄소 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향후 빌딩과 가정 분야로도 확장할 예정이다. 인스코비 관계자는 "이번 스마트에너지플랫폼 구축 사업 참여를 통해 공장·산업단지의 탄소 중립과 디지털 전환에 기여할 기회를 얻게 됐다"며 "지역 기반의 에너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에스피소프트는 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기업 유호스트의 지분 100%를 포괄적 주식교환 방식을 통해 인수한다고 17일 밝혔다. 양사의 주식 교환비율은 유호스트 주식 1주당 에스피소프트 주식 약 2.352주이며, 주식교환 예정일은 8월16일이다. 이번 주식교환으로 유호스트는 에스피소프트의 완전 자회사가 된다. 유호스트는 마이크로소프트(MS) 애저(Azure)에 특화된 클라우드 관리서비스(MSP) 전문 기업이다. 자체 개발 솔루션을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의 고객사에게 차별화된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지난 3월에는 MSP 품질 향상을 위해 MS 애저 기반의 챗GPT를 활용해 인공지능(AI) MSP 솔루션 고도화에도 착수했다. 유호스트는 클라우드에 데이터 분석·예측 기술을 적용한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을 통해 스마트팩토리 영역으로 사업을 다각화했다. 에너지효율화 사업의 전문성을 인정받으며 국내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에스피소프트는 유호스트의 AI에 특화된 MS 애저 클라우드 MSP를 바탕으로 MS 코파일럿 관련 사업 성장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에스피소프트는 MS의 주요 SPLA 라이선스 유통사로 라이선스 공급 외에 챗GPT 기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17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758.42)보다 3.59포인트(0.13%) 내린 2754.83에 개장했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862.19)보다 2.06포인트(0.24%) 하락한 860.13에 거래를 시작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379.3원)보다 3.7원 오른 1383.0원에 출발했다.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정부가 올해 외화표시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 발행을 공식화했다. 정부가 5년 만기 달러채(13억 달러 한도) 발행을 위한 계획을 발표하며 올해 외화표시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 발행을 공식화했다. 이는 2021년 이후 3년만의 미 달러화 채권 발행이다. 1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14일 오후 5시 외평채 대행기관을 KDB 산업은행, BofA, Citi, Credit Agricole, HSBC 등 투자은행 5개사로 선정하고 발행계획(mandate announcement)을 발표했다. 이번 발행은 지난 2021년 이후 3년 만의 달러화 채권 발행으로, 그간 중단되었던 채권 발행을 다시 이어감으로써 '정기적인 채권 발행자(Regular Issuer)'의 지위를 확립하는 데 그 의미가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이를 통해 외평채에 대한 수요가 지속 창출되면서 필요시 언제든 활용 가능한 정부의 외화 조달 창구가 확보될 것"이라며 "최근 외화 채권을 활발히 발행하고 있는 국내기업·금융기관이 보다 낮은 금리로 외화를 조달할 수 있도록 준거금리(벤치마크)를 제공하는 외평채 본연의 기능을 다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라고 전했다. 올해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14일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2754.89)보다 3.53포인트(0.13%) 상승한 2758.42에 장을 마쳤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871.33)보다 9.14포인트(1.05%) 하락한 862.19에 거래를 종료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373.9원)보다 5.4원 오른 1379.3원에 마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