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08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RP, 솔리드 정재윤 손잡고 "새로운 시작"…옛 로열파일러츠

URL복사

[시사뉴스 송경호 기자] 밴드 '로열 파일러츠'가 'RP'(문 킴·엑시·제임스 리)로 이름을 바꾸고 1년4개월 만에 컴백했다. 1980~90년대 한국 R&B에 한 획을 그은 그룹 '솔리드' 출신 프로듀서 정재윤과 손을 잡았다.

 "예전에 작업실에서 몇 번 본 적이 있었는데, 이번 앨범 작업한다고 SNS로 연락이 왔더라고요. 처음에는 한 곡정도 같이 하려고 하다가 서로 마음이 맞아서 여섯 곡이 됐네요"(정재윤), "어렸을 때부터 좋아했어요. 한국 가수 중에서 제일 처음으로 좋아했던 가수에요."(제임스 리)

새 앨범을 준비하는 기간 RP는 베이시스트 제임스가 겪은 사고로 팀 활동이 중단될 만한 위기를 맞았다. 갑자기 무너진 문에 손을 다쳐 왼손을 절단해야 할지도 모른다는 의사의 진단을 받은 것이다. 13년 동안 베이스만 쳤던 제임스와 함께 음악을 하는 멤버들에는 충격적인 사건이었다.

 "처음 든 생각이 '이거 꿈인가?' 피를 너무 흘리고 있어서 이러다가 죽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들었어요. 아직도 매일 재활을 가요"(제임스 리), "굉장히 심각했죠. 음악을 못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은 했는데."(문 킴)

더 이상 베이스를 칠 수 없게 된 제임스는 키보드로 포지션을 바꿨다. 신곡 뮤직비디오에서 제임스가 베이스 기타를 부수는 장면이 이를 표현한다. RP의 음악이 단순한 록 사운드에서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EDM)과 결합하게 된 것도 이 때문이다.

 "프로듀서로서 기타, 베이스, 드럼 조합에 한계가 있는 것 같았는데 제임스가 키보드랑 미디 악기에 투입이 되니까 더 음악이 다양해지고 여러 시도를 할 수 있어서 더 좋았습니다."(정재윤)

새로 태어난다는 의미에서 팀 이름도 바꾼 RP의 새 타이틀곡은 '런 어웨이'다. 록과 EDM의 조합에 브레이크 비트와 DJ 스크래치가 가미된 곡으로 프로듀서 정재윤에 따르면 RP의 새로운 음악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노래다.

앨범에는 또 '렛 유 고(LET U GO)' '투 패스트(TOO FAST)' '유&아이(U&I)' '데인저러스' '위드아웃 유' 등 모던 록을 기반으로 일렉트로닉과 여러 장르가 조합된 다양한 여섯 곡이 실렸다.

 "준비하면서 버릴 곡이 없다는 말을 많이 했어요. 그 정도로 애착이 많이 가서 지금까지 나온 앨범 중에서도 가장 많이 돌려 들었고요"(문 킴), "전에는 앨범 나오기 전에 걱정도 많이 했었거든요. 이번에는 걱정보다는 기대가 커서 빨리 나왔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엑시)

1일 앨범 발매에 이어 2016년 1월에는 일본 프로모션 활동을 계획하고 있다. 한국에서의 단독 콘서트도 목표다.

 "RP가 엄청난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해요. 이번 앨범을 통해서 RP의 이미지와 콘셉트가 확고하게 자리 잡았으면 좋겠어요. 새로운 시작이라고 보고 있고요."(정재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지역, 국가, 세계, 지구 나아가 우주를 이해하는 힘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해냄에듀가 ‘세계를 읽는 지리의 힘’을 출간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 국가, 세계, 지구 나아가 우주를 이해하는 힘은 지리에서 시작된다. 신간 ‘세계를 읽는 지리의 힘’은 세계가 작동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학문인 지리학을 구성하는 개념과 사상을 간결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인문지리학과 자연지리학 영역을 모두 포함해 환경, 공간, 장소와 같은 핵심 주제를 다루며, 지리학의 연구 방법과 지리학사도 조명한다. 이를 통해 지리학이 왜, 그리고 어떻게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보여준다. 입문서지만 단순화되지 않은 이 책에서 저자는 학생들이 사전 지식 없이도 지리학의 역사와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짧고도 세련된 이 책은 ‘지리적 상상력’에 매료된 모든 독자들에게 흥미로운 읽을거리가 될 것이라 전한다. 이 책의 저자인 앨러스테어 보네트는 지리학과 교수이자 여행 작가다. ‘장소의 재발견’, ‘지도에 없는 마을’ 등을 통해 낯선 장소와 익숙한 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냈던 그가 이 책에서는 지리학에 대해 말한다. 저자가 말하는 지리학은 단순히 지도를 외우거나 어느 지역에서 어떤 자원이 생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