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7.08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기욤♡송민서, 이것은 실제상황…'님과 함께 최고의 사랑'

URL복사

[시사뉴스 송경호 기자] 가상 결혼프로그램의 핵심은 '진짜인 것처럼'이다. 시청자를 설레게 하고 더 나아가 대리만족하게 하려고 만드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JTBC '님과 함께 시즌2-최고의 사랑'에 가상 부부로 출연 중인 기욤 패트리(33)·송민서(32)는 '진짜처럼'이 아니라 진짜다. 이들은 사귄 지 3개월 만에 가상 결혼프로그램에 함께 출연하게 된 실제 커플이다.

일찍이 프로게이머로 유명했고 최근 '비정상회담'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등을 통해 활발히 방송 활동을 한 기욤 패트리와 달리 송민서는 직업배우이지만 대중에게 낯선 사람이다. 여자 배우로서 공개연애를 하는 데 따라오는 손해를 무릅쓰고 '님과 함께'에 출연하는 것에 대해 '뜨려고 한다'는 곱지 않은 시선이 따라올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런 꼬리표나 악플을 예상 못한 건 아니에요. 하지만 제 인생에서 누군가를 만나서 결혼까지 생각하는 것도 중요한 문제에요. 프로그램을 통해서 서로 말하지 못하는 부분까지 알 수 있는 것도 많을 거라고 생각했고. 오빠랑 저의 미래에 대해서 많이 생각했던 것 같아요."(송민서)

 "좋은 경험이 될 수도 있지만 안 좋아질 수도 있어서 걱정을 많이 했는데. 사실 초창기에는 악플 때문에 힘들기도 했어요. 그런데 이제는 반응이 좋아진 것 같아서 편안하게 하고 있어요. 민서가 괜찮다면 저는 괜찮아요."(기욤 패트리)

애초에 제작진이 기욤 패트리를 섭외할 때 송민서를 염두에 둔 건 아니었다. 제작진은 기욤 패트리에게 여자친구가 있다는 것도 몰랐다. 그동안 방송에서 보여준 순박하고 어수룩한 모습을 보고 출연제의를 했을 때 여자친구의 존재를 알았다.

 "이름을 알리는 계기로 방송하는 건 저희 취지랑 맞지 않아서 저희도 고민했죠. (송민서를) 만나보니까 굉장히 착하고 순수한 면이 있고, 둘이 너무 좋아하는 게 느껴져서.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뭔가 이루고 싶다는 마음보다는 정말 서로 알고 싶어 하는 마음이 크다고 느꼈어요."(성치경 CP)

많은 사람들의 우려와는 달리 이들은 막 연애를 시작한 여느 커플처럼 알콩달콩 서로 알아가며 가상 결혼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기욤 패트리·송민서 커플이 출연하는 '님과 함께'는 매주 목요일 밤 9시30분 방송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지역, 국가, 세계, 지구 나아가 우주를 이해하는 힘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해냄에듀가 ‘세계를 읽는 지리의 힘’을 출간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 국가, 세계, 지구 나아가 우주를 이해하는 힘은 지리에서 시작된다. 신간 ‘세계를 읽는 지리의 힘’은 세계가 작동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학문인 지리학을 구성하는 개념과 사상을 간결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인문지리학과 자연지리학 영역을 모두 포함해 환경, 공간, 장소와 같은 핵심 주제를 다루며, 지리학의 연구 방법과 지리학사도 조명한다. 이를 통해 지리학이 왜, 그리고 어떻게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보여준다. 입문서지만 단순화되지 않은 이 책에서 저자는 학생들이 사전 지식 없이도 지리학의 역사와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짧고도 세련된 이 책은 ‘지리적 상상력’에 매료된 모든 독자들에게 흥미로운 읽을거리가 될 것이라 전한다. 이 책의 저자인 앨러스테어 보네트는 지리학과 교수이자 여행 작가다. ‘장소의 재발견’, ‘지도에 없는 마을’ 등을 통해 낯선 장소와 익숙한 공간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냈던 그가 이 책에서는 지리학에 대해 말한다. 저자가 말하는 지리학은 단순히 지도를 외우거나 어느 지역에서 어떤 자원이 생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