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14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사회

백만원 넘게 들인 헬스장 PT…환불은 NO?

URL복사

개인교습 피해 급증…“계약 전 충분히 설명하고 동의 구해야”

[시사뉴스 이상미 기자]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사는 대학원생 최모(27·여)씨는 요즘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집에서 한 시간 넘게 걸리는 피트니스 센터에서 운동을 한다. 지난 8월 회당 6만원, 10회에 60만에 이르는 돈을 내고 개인교습(퍼스널 트레이닝·PT) 계약을 했다가 개인 사정으로 휴학을 하게 되면서 집을 옮기게 돼 환불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기 때문이다.

최씨는 실제 교습을 한 번도 받지 않았으니 돈을 돌려달라고 요구했다. 업체 측은 계약서에 환불이 안 된다는 내용이 있었기 때문에 돌려줄 수 없다고 했다.

최씨는 계약 당시 충분한 설명을 듣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업체 측은 구두로 설명했다며 맞섰다. 결국 최씨는 한 달 넘게 '옛 동네'를 왔다 갔다 하고 있다.

또한 서울 동작구에 사는 회사원 조모(36)씨는 최근 체중이 10㎏ 이상 늘었다. 개인교습이 중단되면서 헬스장을 찾는 횟수가 급격히 줄었기 때문이다. 몇 달 전만 해도 이른바 '초콜릿 복근'이 있을 정도로 탄탄한 몸매를 자랑했던 그였다.

조씨는 지난 2월 회사 근처에 있는 피트니스 센터에 120만원을 내고 1년 회원권을 끊었다. 시간이나 횟수 제한 없이 6개월 동안 원하는 만큼 개인교습을 수강할 수 있는 조건이었다.

하지만 넉 달 뒤 피트니스 센터 운영자가 바뀌면서 조씨는 더 이상 개인교습을 받을 수 없게 됐다. 피트니스 센터 측은 이전 사업자와 계약한 내용에 대해서는 알지 못한다고 했다. 조씨는 계약서까지 내밀며 환불을 요구했지만 '돈을 받은 것은 우리가 아니지 않느냐'는 답변만 돌아왔다.

피트니스 센터와의 실랑이는 두 달 넘게 이어졌고 그 사이 당초 계약서에서 정한 6개월이 흘렀다. 조씨는 "처음부터 계약서에 기한을 정하지 않고 횟수를 정하는 것이 더 나을 뻔했다"며 "흐지부지 시간만 보내면서 환불도 못 받고 교습도 끝까지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처럼 피트니스 센터의 개인교습을 다 받지 못했는데도 돈을 돌려받지 못하는 피해사례가 꾸준히 늘고 있다.실제 최근 3년 간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피트니스 개인교습 관련 피해구제 건수는 총 608건이었다.

연도별로는 2012년 135건, 2013년 139건, 2014년 261건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올 3월까지 접수된 피해구제 건수는 73건에 이른다. 이 중 86.8%인 528건이 환불과 관련된 사례였다. 특히 개인교습 횟수에 유효기간이 있는 경우 분쟁이 많았다.

소비자원이 분석한 개인교습 계약서 가운데 75%는 사업자가 일방적으로 유효기간을 정했거나 일정 기간이 지나면 환불과 양도를 금지하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원은 "사업자가 이용자에게 충분한 설명을 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계약 조건을 정하면 그 계약서는 효력을 갖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계약서에 정상 요금과 환불 규정 등을 명확하게 적어야 하고, 이러한 내용을 이용자에게 설명해 동의를 구한 뒤 계약을 맺어야 한다"며 "계약을 맺은 후에는 해당 계약서를 이용자에게 교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피트니스 센터 측은 "우리도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일방적인 계약해지나 환불요구 등 회원들의 '변심' 역시 지나친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특히 개인교습 붐이 일면서 업체마다 가격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회원들의 '변심'은 센터 운영에 큰 타격을 미친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최씨가 다니는 피트니스 센터의 운영자 A씨는 "계약 당시 요금과 횟수, 주의 사항 등을 꼼꼼하게 설명했고 최씨의 동의를 받은 뒤 계약서를 작성했다"며 "최씨의 사정을 이해하지 못하는 건 아니지만 우리가 계약을 어긴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이 업계도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입소문이 가장 무서운데 어떻게 일방적으로 회원을 내쫓거나 함부로 대하겠느냐"고 반문했다.

서울 시내 한 피트니스 센터에서 트레이너로 일하는 유모(28)씨는 "회원들이 비싼 돈을 낸 만큼 자신의 권리를 요구하는 것은 당연하다"면서도 "개장 시간이 아닌데도 그 시간에만 운동할 수 있다며 막무가내로 문을 열 것을 요구하거나 다른 회원과의 PT 시간을 바꿔달라고 떼를 쓰는 등 지나치게 목소리가 큰 회원들 때문에 힘들 때가 많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장기 회원을 모집해 고액의 등록비만 챙기고 달아나는 이른바 '헬스장 먹튀' 피해사례도 늘고 있다.

A씨는 "일부 범죄자들의 사기 행위 때문에 이용자뿐만 아니라 졸지에 일자리를 잃게 되는 트레이너들도 피해를 입는다"며 "처음부터 믿을 만한 센터를 찾아가거나 한 동네에서 오랫 동안 회원들을 잘 관리하는 곳을 추천받기를 권한다"고 말했다.

이어 "피트니스 센터가 너무 많이 늘어나는 것도 문제다. 전문성을 갖춘 곳만 허가를 하고, 불법 영업에 대해서는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단독] “물 좀 가져오라며 고성”…천안시의회 A의원, 상습 갑질 의혹 폭로 잇따라
[시사뉴스 이용만 기자] 천안시의회 A의원(더불어민주당)이 수년간 공무원들을 상대로 고성과 모욕을 반복적으로 일삼았다는 내부 증언이 잇따르고 있다. 여기에 더해 인사 개입과 조직 내 위압, 정서적 폭력에 이르기까지 '직위 기반 갑질'이 만연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반복된 폭언·공개 모욕…공무원들 "트라우마 호소" 복수의 천안시 및 의회사무국 관계자들에 따르면, A의원은 평소 회의나 공식 일정 중 다수가 지켜보는 자리에서 공무원들에게 “어디서 감히”, “말대답하냐”, “반성하라” 등의 강압적이고 모욕적인 언행을 일삼아 왔다고 전한다. 문제는 구체적 지적 없이 감정적 고성과 조롱 섞인 발언이 반복됐다는 점이다. 한 간부공무원은 “직위고하를 막론하고 공개 석상에서 망신을 주는 식의 발언은 단순한 꾸짖음을 넘어 인격 침해”라며,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조직 전체의 사기를 무너뜨린다”고 말했다. 일부 피해 직원들은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해 불면증, 가슴 두근거림, 두통, 위장장애 등 신체화 증상까지 겪고 있다고 밝혔다. 여기에 더해 A의원의 과도한 지시는 때로는 공적 업무 범위를 벗어난 사적 요구까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차를 가져오라”는 식의 명령은 물론

문화

더보기
'서울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광복 80주년 기념 정책포럼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서울연구원(원장 오균)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8월 14일(목) 오후 2시부터 서울역사박물관 야주개홀에서 ‘광복 80주년 기념, 서울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을 주제로 ‘제4회 서울연구원 정책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서울의 공간 변화를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흐름을 되짚고, 향후 100년을 향한 서울의 미래 비전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 정책포럼은 △신민철 서울연구원 연구기획조정실장이 사회를 맡고,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의 ‘광복 이후 서울의 공간적 변화와 역사적 의의’ 주제발표 △김인희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광복 80주년 기념, 서울의 미래 변화와 준비’ 주제발표 △종합토론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된다. 첫 번째 주제발표를 맡은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는 ‘현대 서울, 시민들의 도시의 탄생’이라는 주제로 발표한다.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는 현대 서울의 탄생과 성장 과정과 시민들의 삶이 각종 개발 사업에 의해 어떻게 바뀌었는지에 주목해서 설명한다. 특히 현대 서울의 정체성을 권력 있고 힘 있는 사람들이 주인공이던 왕조 시대의 수도에서 찾을 것인지, 아니면 모든 시민이 주인공인 민주공화정의 수도에서 찾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만시지탄(晩時之歎)…가짜뉴스 유튜버 징벌적 배상 검토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돈을 벌기 위해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유튜버에게 징벌적 손해배상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 대응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대통령은 “돈을 벌기 위해서 불법을 자행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형사처벌을 하게 되면 검찰권 남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일 좋은 것은 징벌 배상(징벌적 손해배상)”이라고 말했다. 유튜브가 유행하면서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이 “사망했다”, “이혼했다”, “마약을 했다” 등 사실과 다른 가짜뉴스를, 자극적인 내용의 썸네일(제목)로 클릭을 유도해 조회수를 늘려 돈을 버는 유튜버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유튜브에서의 조회수는 곧 돈이기 때문에 점점 더 자극적인 내용으로 괴담 수준의 가짜뉴스를 생산해 내기에 여념이 없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다.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확인되지 않은 자극적 루머를 사실인 것처럼 포장해 이목을 끌고 조회수를 늘려나가고 있다. 세(勢)싸움을 하는 듯한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는 유튜버가 단순히 돈을 버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기 때문이다.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