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10.1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사회

추석 기차표 전쟁…“24시간 반 기다렸어요”

URL복사

[시사뉴스 김정호 기자]명절 연휴 기차표 예매는 역시 하늘의 별따기였다. 2015년 추석 연휴 기차표 예매 시작일인 1일 서울역과 용산역. 이날 대합실은 현장 예매를 위해 줄을 선 사람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오전 8시20께 서울역 매표소 앞에는 20~80대까지 1000여명의 사람들이 줄을 지어 앉아있었다.

긴밤을 새운 이들은 지친 표정이 역력했다. 저마다 돗자리와 신문지 위에 앉아 휴대폰을 만지작거리다 다리가 저린 듯 자세를 조금씩 고쳐 앉는 사람들도 부지기수였다.

나란히 앉은 사람들 사이로 간혹 우뚝 솟아 앉아있는 사람들도 보였다. 미리 준비해온 간이의자에 올라 앉아은 이들이었다. 행인들은 신기한 듯 휴대폰을 꺼내 사진을 찍었다.

이동희(40)씨는 이날 오전 3시30분에 택시를 타고 서울역에 도착했다. 양복을 입고 간이의자에 간신히 걸터 앉은 채 고개를 푹 숙이고 있었다.

이씨는 "예전에 신문지를 깔고 밤을 샌 적이 있는데 무릎부터 관절이 다 아프고 다리에 쥐가 나서 혼났다"며 "일부러 오늘을 위해 3만8000원을 주고 간이의자를 사왔다. 그나마 허리만 좀 불편하고 훨씬 낫다"고 웃어보였다.

이어 "올 초 설에 인터넷으로 예매를 하다가 못 갈 뻔했다. 인터넷으로 하는 것은 불안해서 안되겠다 싶어서 왔다"며 "화장실은 옆 사람한테 자리 좀 봐달라고 하고 다녀왔다. 물 한병으로 버티고 있다"고 말했다.

전날인 지난달 31일 오후 11시에 서울역에 자리를 잡은 연영림(35·여)씨는 방울토마토와 돗자리를 챙겨와 밤을 지샜다.

피곤한 기색이 역력한 연씨는 "돗자리를 최대한 펼처서 자리를 확보하고 쪽잠을 잤다"며 "이제 곧 표를 살 수 있다고 생각하니 기운이 솟는다"고 활짝 웃었다.

대학생 박지원(25)씨는 오전 8시40분이 넘어서야 줄을 섰다. 오전 6시에 인터넷 예매를 하려다 실패하고 서울역을 찾았다.

박씨는 "클릭 한번 잘못 하는 바람에 대기가 5000명이라고 뜨길래 바로 준비를 하고 나왔다"며 "입석으로라도 표를 끊으려고 한다. 명절에는 가족들이랑 보내는 게 당연하니 이 정도 고생은 괜찮다"고 말했다.

발매 시작 시간인 오전 9시께가 되자 줄을 섰던 사람들은 역무원들의 안내에 따라 하나둘 일어서 창구 앞에 섰다. 오래 앉아 있어 다리가 저린 듯 쩔뚝쩔뚝 걸었지만 얼굴에는 반가움이 묻어났다.

매표가 시작되자 한명 한명 종종 걸음으로 창구로 달려갔다. 표를 끊은 이들은 서둘러 자리를 떴다. 전날 오전 8시30분에 자리를 잡아 꼬박 24시간30분을 기다린 김옥곤(50)씨는 이를 드러내 활짝 웃으며 표를 사들고 나왔다.

김씨는 "발걸음이 너무 가볍다. 피곤하긴 하지만 기분은 최고"라며 웃었다.

밤새 자리를 잡고 줄을 섰던 이들이 빠져나간 자리에는 돗자리와 신문지, 종이박스, 음료수병이 남았다. 역무원들은 줄을 차례로 안내하면서 틈틈이 쓰레기를 치웠다.

같은 시각 용산역도 상황은 마찬가지. 박스를 돗자리 삼아 깔고 앉은 사람들이 대다수였다. 장시간 기다림에 지친 듯 신발을 벗고 맨발로 앉아 있었다. 늦게 온 사람들은 이미 장사진을 이룬 매표소 앞을 보고 허겁지겁 시간표를 들고 섰다.

줄 맨 앞에 선 성모(68·여)씨는 부산행 기차표를 끊기 위해 전날 밤 오후 7시부터 줄을 섰다. 성씨는 "줄을 선 이후 지금까지 바나나 하나 먹었다. 그래도 옆에 같이 기다리는 사람들이랑 얘기하면서 심심하진 않았다"고 말했다.

코레일은 오는 2일 호남선과 전라선, 장항선, 중앙선 등의 승차권 판매를 시작한다. 예매 후 남은 승차권은 3일 오전 10시에 판매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호산대, 방사선과 ‘방사선사 현장실습 발표 자기주도성장 콘퍼런스’ 개최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호산대학교 방사선과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사업 현장실습 발표회 프로그램 일환으로 지난달 23일 「방사선사 현장실습 발표 자기주도성장 컨퍼런스」를 개최하였다. 이번 콘퍼런스는 방사선과 재학생들의 현장실습 경험과 성과를 공유하고, 후배 학생들의 현장실습 준비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특히 3학년 재학생들은 지난 4월 28일부터 6월 20일까지 8주간(320시간) 경북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및 핵의학과에서 현장실습을 진행하며 다양한 임상 경험을 쌓았다. 발표는 영상의학과(일반촬영실, 투시조영실, 혈관조영실, CT실, MRI실, 초음파실)와 핵의학과 7개 팀의 부스 형식으로 운영되었으며, 학생들은 현장실습 과정에서 직접 경험한 환자 응대 지침, 실습 전 유의사항, 감염 예방 및 안전 관리 사항, 실무 적응 전략 등을 후배들에게 소개했다. 방사선과 3학년 김동현 학생은 “현장실습을 통해 배운 점을 후배들과 나눌 수 있어 보람을 느꼈다”며, “이러한 경험 공유가 방사선사로서 전문성과 더불어 자기주도적 성장에도 큰 도움이 된다”고 소감을 전했다. 방사선과 학과장 곽병준 교수는 “이번 발표회는 단순한 현장실습 성과 공유를 넘어, 선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디지털 약자들의 정보격차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은행 업무부터 병원 예약, 대중교통 이용, 행정 서비스까지 해결되는 시대다. 그러나 이 편리함은 상대적으로 디지털 정보활용 취약계층에게는 새로운 장벽이 되곤 한다. 각종 기관의 창구 업무는 줄어들고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만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다. 전자정부, 모바일뱅킹, 온라인쇼핑, 스마트농업 등 대부분의 사회·경제 활동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이뤄지는 시대다. 하지만 모두가 그 혜택을 고루 누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노인뿐 아니라, 전업주부, 저학력자, 농촌 거주자, 장애인 등 이른바 ‘디지털 정보취약계층’은 여전히 정보 불평등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는 단순한 ‘기술 접근’의 문제가 아니다. 기기 사용 능력의 부족, 낮은 디지털 문해력, 인프라 격차, 생활환경의 한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과 활용 능력이 결여되면 일상적인 서비스 이용은 물론, 경제 활동, 교육 기회, 복지 접근까지 제한받는다. 디지털 기술이 사회를 더 평등하게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기존의 격차를 심화시키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의 중장년층 여성이나 농민, 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