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부삼 기자]청와대는 21일 북한의 포격도발 사태와 관련해 단호히 대응한다는 기조를 유지한 채 추가 도발 가능성 등을 염두에 두고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모습이다.
민경욱 대변인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지금 차분하고 냉정하게 북한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청와대의 분위기를 전했다.
청와대는 비무장지대(DMZ) 지뢰매설에 이어 경기도 연천 지역에 대한 포격까지 북한의 잇따른 도발로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이 최고조에 이르렀다고 보고 있으며 그 어느 때보다 엄중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의 한 인사는 "대화는 대화대로 노력을 계속 하겠지만 지금은 단호한 대응과 응징이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도발에 대한 단호한 응징'과 '평화적 협력을 위한 대화'가 대북 정책의 양대축이라는 점에는 변함이 없지만 현재 시점에서는 대화보다 응징쪽에 무게가 실리는 상황이란 의미다.
박근혜 대통령이 전날 북한의 포격도발 직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취임 후 처음으로 직접 주재한 데 이어 이날 일정까지 전면 취소한 것도 이같은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당초 이날 지방 일정을 예정했지만 모두 취소하고 청와대에 머물며 상황 대응에 나섰다.
민 대변인은 박 대통령의 일정 취소에 대해 "청와대가 이번 사태를 가볍게 보지 않는다는 결의로 이해해주길 바란다"면서 "북한이 도발을 해온 상황에서 도발에는 단호히 대처하고 국민을 안심시키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박 대통령이 그만큼 북한의 이번 도발을 엄중하고 무겁게 바라보고 있다는 방증"이라며 "냉정하게 상황을 파악하고 대비책을 세워 나갈 것"이라고 언급했다.
청와대는 북한이 48시간 내 심리전 방송을 중단하지 않으면 군사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위협한 것과 관련해 추가 도발 유무에 따른 다양한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향후 대응책을 설계해 나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북한의 도발로 인한 국민 불안과 이에 따른 증시급락 등 경제적 여파 등에 대해서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