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8.14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정치

與 “자살 임과장, 국정원 해킹 프로그램 실질적 책임”

URL복사

“민간인에 로그파일공개 하면 국정원 웃음거리”

[시사뉴스 김부삼 기자]새누리당은 29일 국정원 해킹팀이 5명이고 실무책임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임모(45)과장이라고 밝혔다 .

국정원 출신으로 국회 정보위 여당 간사를 맡고있는 이철우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국정원) 해킹팀이랑 그 사람들은 기술개발연구단”이라며 “기술개발연구단은 보통 한 팀에 4~5명으로 이뤄져있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이팀의 경우도 임모 과장이 다른 팀으로 옮기기 전에 그 팀의 팀원 중 한 사람이었다”며 “임 과장과 같은 사람들이 한 4명정도 더 있었고 그 위에 과장급 되는 팀장이 있었다. 그렇게 5명으로 팀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이번에 문제가 된 해킹 프로그램은 임 과장이 주도적으로 도입하자고 해서 했고, 운영도 임 과장이 직접적으로 운영을 다 했고, 그 옆에 있는 사람들은 다른 일도 하면서 그 일에 관해서는 연구원들이니까 이 프로그램이 우리나라에서 어떻게 새롭게 뭘 쓸 수 있을지 연구하는 일을 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실질적 타겟을 정하고 일할 때는 임 과장이 대부분을 다했다”고 덧붙였다.

한마디로 숨진 임 과장이 해킹 프로그램 구입을 주도했고, 운영 역시 임 과장이 했을 뿐, 다른 팀원들은 해킹 실무 내용에 대해선 자세히 몰랐다는 설명인 셈.

더 나아가 임 과장이 해킹 내용을 삭제한 데 대해서도 “누구에게나 삭제 권한은 없다”며“공식적으로 인정된 내부 자료는 5년간 보관을 해야한다. 국장이 아니라 국정원장도 삭제권한이 없다. 국정원도 삭제사실을 유서를 보고서야 알았다”고 모든 책임을 임 과장에게 돌렸다.

한편 이 의원은 지난 27일 국정원 현안보고에서 합의된 야당 추천 민간 IT 전문가들과 국정원 실무진과의 간담회에 대해 “당장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 같고 8월10일이나 11일, 그 둘 중에 결정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도 “국정원에서는 원장이 아주 강력하게 이야기했다”며 “로그파일을 민간인에게 공개하면 국정원이 외국정보기관 사이에서 협조도 안 되고 웃음거리가 된다"고 로그파일 민간 전문가 공개는 절대 불가능함을 분명히했다.

그동안 국정원과 새누리당은 숨진 임 과장이 “단순 기술자”라고 설명해왔다. 그러나 27일 국정원은 정보위 현안보고에서 임 과장이 해킹 프로그램 구매, 운영 등 모든 실무 책임자라고 입장을 바꿔, 야당이 말바꾸기 의혹을 제기하는 등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서울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광복 80주년 기념 정책포럼 개최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서울연구원(원장 오균)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8월 14일(목) 오후 2시부터 서울역사박물관 야주개홀에서 ‘광복 80주년 기념, 서울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을 주제로 ‘제4회 서울연구원 정책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서울의 공간 변화를 통해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흐름을 되짚고, 향후 100년을 향한 서울의 미래 비전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 정책포럼은 △신민철 서울연구원 연구기획조정실장이 사회를 맡고,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의 ‘광복 이후 서울의 공간적 변화와 역사적 의의’ 주제발표 △김인희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광복 80주년 기념, 서울의 미래 변화와 준비’ 주제발표 △종합토론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된다. 첫 번째 주제발표를 맡은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는 ‘현대 서울, 시민들의 도시의 탄생’이라는 주제로 발표한다. 김시덕 도시 문헌학자는 현대 서울의 탄생과 성장 과정과 시민들의 삶이 각종 개발 사업에 의해 어떻게 바뀌었는지에 주목해서 설명한다. 특히 현대 서울의 정체성을 권력 있고 힘 있는 사람들이 주인공이던 왕조 시대의 수도에서 찾을 것인지, 아니면 모든 시민이 주인공인 민주공화정의 수도에서 찾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만시지탄(晩時之歎)…가짜뉴스 유튜버 징벌적 배상 검토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돈을 벌기 위해 가짜뉴스를 유포하는 유튜버에게 징벌적 손해배상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법무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 대응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대통령은 “돈을 벌기 위해서 불법을 자행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며, “형사처벌을 하게 되면 검찰권 남용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제일 좋은 것은 징벌 배상(징벌적 손해배상)”이라고 말했다. 유튜브가 유행하면서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들이 “사망했다”, “이혼했다”, “마약을 했다” 등 사실과 다른 가짜뉴스를, 자극적인 내용의 썸네일(제목)로 클릭을 유도해 조회수를 늘려 돈을 버는 유튜버들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유튜브에서의 조회수는 곧 돈이기 때문에 점점 더 자극적인 내용으로 괴담 수준의 가짜뉴스를 생산해 내기에 여념이 없는 것이다. 더 심각한 것은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다. 진보·보수를 가리지 않고 확인되지 않은 자극적 루머를 사실인 것처럼 포장해 이목을 끌고 조회수를 늘려나가고 있다. 세(勢)싸움을 하는 듯한 정치와 관련한 가짜뉴스는 유튜버가 단순히 돈을 버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에 큰 해악을 끼치기 때문이다.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