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중소기업 10곳 중 6곳은 대기업의 납품단가가 적정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는 8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중소제조업 납품단가 반영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중소제조업체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조사대상 중 61.7%는 대기업의 납품단가가 적정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현재의 납품단가가 적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경쟁업체와의 가격경쟁으로 인한 납품가격 인하'가 49.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충분치 않은 납품단가 반영'이 31.4%, '부당한 납품단가 감액'이 10.3%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이어 적정단가가 되기 위해 납품단가가 평균 17.2% 인상돼야 한다고 응답했다.
조사에 참여한 업체 중 51.3%는 납품단가 인상을 요청한 경험이 있었지만 48.7%는 인상을 요청한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상을 요청하지 않은 업체는 '거래단절 우려'(26.0%) 또는 '인상 요청이 수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기 때문'(24.7%) 등의 이유로 인상 요청을 포기했다.
인상을 요청한 업체도 4곳 중 1곳은 합의도출에 실패(16.9%)하거나 원 사업자로부터 조정을 거부(11.0%)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중소제조업체들이 원사업자와의 거래시 바라는 점으로는 '일정기간 일감(납품물량) 보장'(37.0%), '납품단가 제값받기'(31.3%), '납품대금의 신속한 현금결제'(19.0%) 등이다.
정부에 바라는 점으로는 '주기적 납품단가 반영 실태조사'(25.3%), '납품단가 후려치기에 대한 처벌 강화'(25.0%), '납품단가 연동제 도입'(21.7%) 등으로 응답했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지난해 공정위가 대금 지급 실태를 집중 점검해 128건의 위반 행위를 적발하는 등 불공정행위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중소기업이 현장에서 체감하는 납품단가 제값받기는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한편 실태조사에 따르면 최근 2년간 중소제조업체가 체감하는 제조원가는 6.2% 상승한 반면 납품단가는 1.4%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 2013년(100)과 비교했을 때 노무비, 경비, 재료비 등 제조원가는 106.2로 증가했지만 납품단가는 지난 2014년 99.2, 지난해 98.6으로 2년 연속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