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으로 인한 공포감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백화점 등 유통업체들은 이번 메르스 사태 확산 여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메르스 사태가 악화될 경우 자칫 회복세로 돌아서고 있는 매출에 악영향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우려감 때문이다.
당장 이번 메르스 감염 사태로 인해 방한 예정이었던 중국인들이 여행을 취소하는 사태가 발생하고 있어 면세점 등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유통업계 매출은 비상등이 켜질 전망이다.
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롯데, 현대, 신세계 등 백화점 3사의 5월 매출은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5~6% 증가했다.
롯데백화점은 지난달 매출이 기존점 기준으로 6.0% 증가했다. 상품별로 살펴보면 해외패션 32.1%, 골프 20.2%, 아웃도어 17.4%, 잡화 10.1%, 리빙 7.9%, 남성정장 7.2%, 식품 11.4% 등에서 매출이 늘었다.
현대백화점과 신세계백화점도 각각 지난달 매출이 5.7%, 5.0%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백화점에서는 골프, 명품, 주얼리·시계 등에 대한 매출이 전체 매출을 견인했다.
현대백화점의 경우 수입시계 상품 22.8%, 수입의류 21.5%, 고급여성복 10.8% 등에서 매출이 증가했다. 신세계 백화점의 경우 골프 14.1%, 명품 13.3%, 주얼리·시계 31.1%, 컨템 11.5%, 건강식품 10.1% 등에서 매출이 신장세를 보였다.
대형마트의 매출도 지난 4월부터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달 27일 발표한 '유통업체 매출동향'에 따르면 대형마트의 4월 매출은 할인행사 등에 따른 식품 판매 증가로 전년동월 대비 소폭 상승(+0.02%)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마트는 올해 초부터 소비심리 위축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판매 감소세를 보였으나 지난 4월 보합세로 돌아섰다. 지난달의 경우 이마트와 홈플러스에서 각각 1.6, 1.5% 증가하는 등 증가세로 전환되는 추세다.
문제는 메르스 감염자가 확산될 경우 외국인 관광객이 감소하는 한편 국내 소비자들도 대중이 많이 모이는 곳을 사람들이 외면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중국 현지에서는 메르스 감염자가 확진 판정을 받은 이후 한국여행을 자제하라는 현지 언론보도가 나오는 등 한국여행을 꺼리는 분위기가 형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나투어에 따르면 이날까지 중국인 300여 명이 서울 관광 계획을 취소했다. 모두투어를 통해 방한 예정이었던 중국인들의 취소율은 3%로 조사됐다.
이 같은 상황이 장기적으로 이어질 경우 여름철 대목를 맞아 대대적인 판촉 행사를 계획중인 유통업체에 직격탄으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최악의 경우 회복세를 보였던 내수경기는 또 다시 얼어붙을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백화점 등 유통업체 측에서는 이번 메르스 확산 사태를 신중히 지켜본 뒤 실제 매출 감소 현상이 나타날 경우 대응책을 내놓는다는 방침이다.
롯데 백화점 관계자는 "지난달 백화점의 매출은 세월호 사건이 발생한 2014년에 비교할 때 소폭 증가했다"며 "아직까지 메르스 확산에 따른 판매 부진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