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정부가 2차 전지와 의료기기, 자동차 전장부품 등을 수출 효자로 육성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30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정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분야별 수출 종합대책′을 다음달 발표할 계획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대내외적 원인 분석 및 우리나라 수출 경쟁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구조적 문제를 파악한 뒤 업종별 수출 대책 및 장· 단기 대책도 함께 마련키로 했다.
분야별 수출 활성화 대책에는 ▲수출효자 육성 방안 ▲주요 업종별 경쟁력 제고 방안 ▲무역금융 및 마케팅 지원 방안 등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진 상태다.
특히 이번 대책에는 향후 2~3년안에 수출 효자 상품으로 성장할 수 있는 품목을 적극 발굴해 집중 지원하는 방안이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정부가 집중 지원 대상으로 검토하고 있는 품목들은 ▲2차전지 ▲의료기기 ▲자동차 전장부품 ▲농기계 ▲환경상품(공기청정기 등) 등으로 알려졌다.
장기적으로 성장 가능성은 있지만 중단기적으로 시장 수요가 없는 품목은 이번 대책에서 제외될 것으로 전해진다. 그만큼 중단기적인 수출 증대가 시급하기 때문이다.
선정된 전략품목에 대해 정부는 높은 수준의 무역금융 및 수출 마케팅을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이번 대책에는 자동차, 무선통신기기, 반도체 등 주요 품목들의 제품 경쟁력을 높이고 마케팅을 강화해 해외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 등도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제조업 시장의 활성화 방안과 관련해서는 현재 8만7000개 수준인 수출 중소기업을 오는 2017년까지 10만개로 육성하는 사업 등의 대책도 추진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중국 전자상거래·내수시장 진출 ▲미국·중동 등 유망시장 집중 공략 ▲비관세장벽 대응 등 현장 지원 강화 ▲중소·중견기업에 무역보험 확대 방안들도 기존보다 강화된 수준에서 발표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2차 전지와 의료기기, 자동차 전장부품 등을 비롯해 공기청정기와 같은 환경제품 등을 수출증대 전략 품목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