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이동통신 요금할인 가입 수요 증가 여파로 신규 휴대폰 구매 수요가 위축되곻 있다.
요금 할인은 매달 지출되는 휴대폰 요금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최신 휴대폰 구매 부담이 과거보다 늘어나 휴대폰 수요 위축으로 이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미래부는 지난달 24일 약정 1~2년 요금할인 비율을 기존 12%에서 20%로 상향 조정했다. 할인율 확대를 계기로 요금할인제도 가입자는 크게 늘어났다. 이달 13일에는 마침내 50만명을 넘어섰다. 요금 할인 폭이 확대된 후 하루 평균 가입자 수가 그 이전에 비해 19배 이상 늘어났다.
하지만 요금할인폭 확대 조치는 '갤럭시S6', 'G4' 등 최신 스마트폰 구매 수요를 억제하는 효과를 내고 있다. 물론 경기부진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 영향도 배제할 수 없지만 요금할인 확대 영향이 큰 것으로 지적된다.
지난해 10월 단말기 유통법이 시행된 후 소비자들은 과거 불법 보조금을 바탕으로 스마트폰을 저렴하게 구매한 경험 때문에 제 값을 내고 스마트폰을 장만하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끼고 있다.
이달 18일 현재 '갤럭시S6(32GB)', 'G4' 구매자가 월 6만원대 요금제에 가입하기 위해 보조금을 선택하면 17만~18만원 가량을 지원받을 수 있다. 보조금 최대 지원 한도인 33만원에 크게 못 미친다.
더욱이 요금 할인 폭이 확대됨에 따라 이통사들의 보조금 지급 여력은 줄어들었다. 요금할인을 선택하는 가입자가 늘어날수록 장기적으로 이통사의 수익성 지표인 가입자당평균매출액(ARPU)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밖에 없다. 통신서비스 매출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보조금을 확대할 경우 통신사들은 상당한 수익성 악화 부담을 떠안아야 한다.
앞으로 요금할인 폭이 추가로 상향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도 통신사들로서는 적지않은 부담 요인이다. 요금할인 비율은 이통사 수익에서 보조금이 차지하는 비중으로 정해진다.
스마트폰 구매 수요 감소는 새 스마트폰을 구입하면서 통신사를 변경하는 번호이동 수치에 그대로 반영됐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에 따르면 올해 1~4월 번호이동(자사 번호이동 제외·알뜰폰 포함)은 1월 75만6644건, 2월 57만9874건, 3월 61만7315건, 4월 45만4670건으로 계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