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중국 증시의 최대 변수는 중국정부의 정책이다."
중국 증시가 강세기조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전문가들은 과열 조짐을 보이면 중국 정부가 적극적인 안정화 조치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잠시 조정이 있더라도 앞으로도 긍정적인 방향으로 움직일 것으로 내다봤다.
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중국 증시는 기준 금리 인하 조치에 힘입어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전일(12일) 상하이종합지수는 전일보다 67.64포인트 오른 4401.22로 마감했다. 중국 인민은행은 지난 10일(현지 시간) 1년 만기 위안화 대출과 예금 기준금리를 5.10%, 2.25%로 각각 25bp 낮췄다.
지난해 11월 상하이 증시와 홍콩 증시 간 교차 거래 시장인 후강퉁(滬港通)이 도입된 뒤 상하이종합지수는 80% 넘게 상승했다. 특히 지난 8일(현지 시간) 중국 국무원이 공식 승인한 '중국판 코스닥 시장'으로 불리는 선강퉁(沈港通)이 도입되면 증시가 더욱 활성화할 전망이다.
중국 정부는 앞으로도 주도적으로 시장 제도 개편을 위해 ▲투자자 보호를 위한 증권법 개정 ▲기업공개(IPO) 등록제 시행 ▲국유기업 개혁 등의 조치를 시행해 나갈 가능성이 크다고 국내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현대증권 한정숙 연구원은 "중국 정부는 지난 2012년 금융 개혁의 원칙과 방향을 제시하고 2013년부터는 그림자 금융의 문제점을 제시하며 자본시장 개혁에 주도적으로 나서는 상황"이라며 "앞으로도 금융 부문에서 글로벌 입지를 굳히기 위한 노력이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물론 이 과정에서 시장 조정자로서의 정부 역할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유안타증권 민병규 연구원은 "중국 증시의 주도 섹터의 변화를 보면 정부 정책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며 "증시 강세에 힘입어 금융 섹터가 크게 오르자, 증권사 신용제재와 잇따른 증시 과열 억제 발언 등으로 조절했다"고 말했다.
KR투자연구소 관계자는 "중국 정부는 과거 증시 폭락이 사회 불안으로 이어지는 경험을 했다"며 "정부 신뢰를 잃는 상황을 우려하는 중국 정부에게 유동성 축소, 신용규제와 증거금률 강화 조치 등은 사회 안정 정책이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